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민생회복 소비쿠폰, 어디서 어떻게 쓸까?…헷갈리는 사용법 총정리

이수민 기자 | 입력 25-07-08 12:30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전 국민에게 지급되는 "민생회복 소비쿠폰" 신청이 오는 21일부터 시작되는 가운데, 어디서 어떻게 써야 하는지에 대한 시민들의 궁금증이 커지고 있다. 소비쿠폰은 지역 소상공인 지원과 골목상권 활성화라는 명확한 목표를 가지고 설계된 만큼, 사용할 수 있는 곳과 없는 곳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어 사용 전 꼼꼼한 확인이 필요하다.

소비쿠폰은 오는 7월 21일부터 9월 12일까지 신청할 수 있으며, 지급된 금액은 11월 30일까지 모두 사용해야 한다. 기간 내에 사용하지 않은 잔액은 자동으로 소멸되므로 주의해야 한다.

가장 중요한 원칙은 대기업 직영 매장이 아닌, 지역의 소상공인 매장에서 사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이 원칙에 따라 이마트, 롯데마트, 홈플러스와 같은 대형마트나 백화점, 기업형 슈퍼마켓(SSM)에서는 사용할 수 없다. 또한 쿠팡, G마켓 등 모든 온라인 쇼핑몰에서의 결제도 불가능하다.

가장 헷갈리는 부분은 프랜차이즈 매장이다. 핵심은 "직영점"이냐 "가맹점"이냐의 차이다. 스타벅스처럼 본사가 전국의 모든 매장을 직접 운영하는 "100% 직영점"에서는 소비쿠폰을 사용할 수 없다.

반면, 파리바게뜨, 교촌치킨, BHC, 그리고 대부분의 동네 편의점처럼 점주가 본사와 계약을 맺고 직접 운영하는 "가맹점"에서는 사용이 가능하다. 다이소처럼 직영점과 가맹점이 섞여 있는 경우에는 가맹점에서만 쓸 수 있다. 정부는 소비자들의 혼란을 줄이기 위해 쿠폰 사용이 가능한 가맹점에는 별도의 안내 스티커를 부착할 예정이므로, 결제 전 스티커 유무를 확인하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이다.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할 때도 주의가 필요하다. '배달의민족'이나 '쿠팡이츠' 앱을 통해 미리 결제하는 방식은 온라인 결제로 간주되어 쿠폰 사용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만나서 결제' 또는 '현장 결제'를 선택한 뒤, 배달원이 가져온 식당 소유의 카드 단말기로 직접 결제하는 경우에는 쿠폰을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 가능 매장이라 할지라도 구매가 제한되는 품목이 있다. 담배, 복권, 상품권 등 환금성 상품은 살 수 없으며, 택배 요금이나 공공요금 납부에도 사용할 수 없다. 소비쿠폰의 본래 취지에 맞게 현명하고 계획적인 소비가 요구되는 시점이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37도 폭염 속 스러진 20대 이주노동자…안전수칙은 없었다
부산문화회관 이용관 대표, 근무시간 음주운전 의혹 끝에 "직위해제"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속보) '김건희 특검', 尹 전 대통령 출석 불응 ..
토트넘 유망주 희비 교차…마이키 무어는 임대, 양민..
폭우 속 술자리 의총…국민의힘 경북도의회, 부적절 ..
신생아에 "낙상 마렵다"…간호사 3명 아동학대 혐의..
속보) '채해병 특검', 이시원 전 비서관 31일..
나경원 "탄핵 반대는 잘못 아냐"…혁신위 인적쇄신론..
속보) 울산 병원 주차장 살인미수, 이별 통보에 앙..
속보) 전북 지방의회, 국외 연수비 부정 의혹 확산
속보) 이재명 대통령 "폭염은 국가 비상사태"
속보) 윤석열 전 대통령, 특검 첫 소환 불응
 
최신 인기뉴스
"폭우가 와도 매일 그 자리에"…故 서희원 묘지 지..
김건희 특검, 나토 순방 당시 김 여사 착용 '고가..
속보) 전국 35도 안팎 무더위 기승, 서울 37도..
'민생회복 소비쿠폰' 5일 만에 3,600만 명 이..
속보) 서울 낮 최고 38도 예고, '살인 폭염' ..
서울 길음동 기원서 칼부림 발생, 3명 부상…70대..
인천 부평시장역 상가 건물 지하서 염산 누출 사고
속보) '명태균 공천개입 의혹' 수사 확대… 함성득..
우원식 국회의장, 수감 중인 조국 전 대표 면회… ..
인천 사제총기 살인 사건, 경찰 초동 대처 미흡 논..
 
신문사 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