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직 해병 사망사건 수사 방해 의혹'을 규명 중인 이명현 특별검사팀의 칼끝이 전임 대통령실을 정조준하고 있다. 특검팀은 사건의 핵심 인물로 지목되어 온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에게 오는 31일 출석해 조사를 받으라고 공식 통보했다. 해병대 수사단의 초기 조사 기록이 경찰에서 국방부로 회수되는 과정에 깊숙이 개입했다는 의혹을 받는 이 전 비서관이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되면서, '윗선'의 지시 여부를 밝히기 위한 특검의 수사가 중대 분수령을 맞게 됐다.
특검팀은 29일 정례 브리핑을 통해 "이시원 전 비서관을 직권남용 권리행사방해 혐의의 피의자 신분으로 31일 소환해 조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전 비서관은 지난 2023년 8월 2일, 해병대 수사단이 임성근 전 1사단장 등 8명의 혐의를 적시해 경북경찰청에 이첩했던 사건 기록을 국방부 검찰단이 위법하게 회수하는 과정 전반에 관여한 혐의를 받고 있다. 특검팀은 이 전 비서관이 기록 회수 당일과 그 이후, 국방부와 경찰 관계자들과 긴밀하게 소통한 정황을 확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검사 출신인 이 전 비서관은 전임 정부 대통령실 내에서 사정 라인을 총괄하는 핵심 참모로 꼽힌다. 이 때문에 그의 개입이 개인적인 판단을 넘어선, 대통령실 차원의 조직적인 지시에 따른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꾸준히 제기되어 왔다. 특검은 이 전 비서관을 상대로 유재은 전 국방부 법무관리관 등 국방부 관계자들과 통화하며 사건 기록 회수를 논의하고 지시했는지, 이 과정에 다른 대통령실 관계자나 더 높은 '윗선'의 개입은 없었는지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할 방침이다.
특검팀의 이 전 비서관 소환은 충분한 사전 조사를 거친 자신감의 표현으로 해석된다. 특검은 지난 10일 이 전 비서관의 주거지를 압수수색해 관련 자료를 확보했으며, 최근에는 공직기강비서관실에 파견됐던 박 모 총경으로부터 "이 전 비서관이 이첩 기록 반환을 검토하라고 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특검의 수사는 이 전 비서관 외에도 전임 정부의 국정 운영 중심에 있던 인사들을 향해 전방위로 뻗어 나가고 있다. 특검은 이날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을 소환해 조사했으며, 박진희 전 국방부 장관 군사보좌관과 허태근 전 국방부 정책실장 등 국방부 고위 관계자들에 대한 조사를 이어가고 있다. 대통령실 핵심 인사인 이시원 전 비서관의 소환 조사가 임박하면서, 순직 해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의 실체적 진실이 드러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