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이 그야말로 '펄펄 끓는' 가마솥더위에 갇힌 가운데, 이재명 대통령이 "국가적 비상사태라는 각오로 가용 인력과 예산을 총동원해 피해를 최소화하라"고 정부 부처에 긴급 지시했다. 연일 계속되는 폭염으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눈덩이처럼 불어나자, 대통령이 직접 나서 범정부 차원의 최고 수준 대응을 주문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29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주재한 국무회의 모두발언에서 심각한 폭염 피해 상황을 조목조목 짚었다. 이 대통령은 "폭우에 이어 폭염이 심각하다"며 "온열질환자가 지난해의 약 3배인 2,400명을 넘어섰고, 폐사 가축 수도 작년의 10배인 100만 마리를 넘어섰다고 한다"고 밝혔다. 이어 "상황을 엄중히 인식하고 국가적 비상사태라는 각오로 총력 대응해달라"고 거듭 강조했다.
특히 이 대통령은 사회적 취약계층과 농가, 민생 경제에 대한 세심한 대책 마련을 당부했다. 그는 "야외에서 일하는 노동자에 대한 보호 조치를 최우선으로 강구하고, 추가적인 농가 피해 예방과 농축산물 가격 급등으로 인한 물가 불안이 없도록 최선을 다해달라"고 말했다. 이는 폭염이 단순한 날씨 문제를 넘어, 국민의 생명과 안전, 민생 경제 전반을 위협하는 복합적인 재난이라는 인식을 분명히 한 것으로 풀이된다.
현재 대한민국은 사실상 한라산을 제외한 전 국토가 폭염특보 영향권에 놓여 있다. 이날 오전 10시를 기해 그간 폭염특보의 '무풍지대'로 불렸던 강원도 태백에마저 폭염주의보가 발령됐다. 이로써 전국 183개 육상 기상특보 구역 중 99%에 달하는 181곳(경보 161곳, 주의보 20곳)이 극한의 더위에 시달리고 있다.
정부는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행정안전부를 중심으로 범정부 총력 대응 체계를 가동하고, 야외 노동자 작업 중지 권고 강화, 무더위 쉼터 운영 시간 연장 및 상시 점검, 농축산가에 대한 긴급 용수 지원과 방역 강화 등 가용한 모든 수단을 동원해 피해 최소화에 나설 방침이다. 유례없는 폭염 재난 앞에 정부가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지키기 위한 역량을 증명해야 하는 시험대에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