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 상병 사건 외압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법원에서 구속영장이 기각된 김계환 전 해병대사령관을 다시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김 전 사령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설'을 처음 인정한 데 따른 추가 조사의 필요성을 인정한 것이다.
정민영 특검보는 오늘(23일) 기자회견에서 "김 전 사령관은 윤석열 전 대통령의 격노 사실을 본인이 들었다고 어제 처음으로 인정했고, 구속영장 청구 전까지 고수했던 입장 일부를 바꿨다"고 밝혔다. 특검은 이 같은 진술 변화를 포함해 추가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 조만간 김 전 사령관을 피의자 신분으로 다시 불러 조사할 계획이다. 김 전 사령관은 영장실질심사에서 윤 전 대통령의 '격노'를 임기훈 전 국가안보실 국방비서관 등 3명에게서 들었다고 진술한 것으로 알려졌으나, 나머지 2명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다.
앞서 서울중앙지법 남세진 영장전담 부장판사는 어제(22일) 모해위증 등 혐의로 청구된 김 전 사령관의 구속영장을 "도망할 염려가 없다"는 이유로 기각했다. 정 특검보는 구속영장 재청구 여부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논의된 바는 없으며 추가 조사를 진행하면서 판단할 것 같다"고 설명했다.
특검팀은 오는 25일 허태근 전 국방부 정책실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할 예정이다. 허 전 실장은 채 상병 사건 최초 수사 결과가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에게 보고됐던 2023년 7월 31일 자리에 배석한 인물이다. 그는 박정훈 해병대 수사단장(대령) 항명 혐의 재판 증인으로도 출석한 바 있다. 정 특검보는 "당시 보고된 내용과 장관의 지시 사항, 국방부 내에서 이루어진 일련의 결정 등에 대해 조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아울러 특검팀은 압수수색을 통해 확보한 윤 전 대통령의 아이폰 휴대전화 분석은 윤 전 대통령 측의 비밀번호 제공 거부로 인해 지체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수사 장기화의 한 요인이 될 수 있으며, 특검의 디지털 포렌식 수사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