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야심 차게 출범했던 서울시의 새로운 수상 대중교통 '한강버스'가 잦은 고장과 결함을 이기지 못하고 결국 멈춰 섰다. 서울시는 정식 운항을 시작한 지 불과 열흘 만인 29일부터 약 한 달간 시민 탑승을 전면 중단하고, 선박 성능 고도화와 안정화를 위한 시범 운항 체제로 전환한다고 28일 밝혔다. 시민들의 기대를 한 몸에 받으며 등장했지만, 잇따른 운항 차질로 신뢰도에 큰 타격을 입게 되면서 성급한 운항 개시가 아니었냐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서울시에 따르면 이번 운항 중단은 승객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확보하기 위한 선제적 조치다. 시는 "운항 초기 최적화 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기술적, 전기적 미세 결함이 발생했다"고 설명했지만, 그간의 운항 기록을 보면 문제는 '미세 결함' 수준을 넘어선 것으로 보인다. 한강버스는 지난 22일 운항 중이던 선박 두 척에서 전기 계통 이상이 발생해 긴급 회항하는 소동을 빚었으며, 26일에는 방향타가 고장 나 운항이 중단되기도 했다. 심지어 오늘 아침에도 출항 준비 과정에서 이상이 발견돼, 정상 운항 예정이던 4척 중 절반인 2척만 겨우 운항하는 등 파행 운영이 지속되어 왔다.
정식 운항 개시 이후 팔당댐 방류량 증가로 인한 운항 중단을 제외하고도, 선박 자체의 기계적 결함으로 인한 운행 차질이 반복되자 시민들의 불안감은 커져갔다. 단순 교통수단을 넘어 서울의 새로운 관광 자원으로 만들겠다는 시의 계획이 무색하게, 기본적인 안전성과 정시성조차 확보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이에 서울시는 내일부터 10월 말까지 승객을 태우지 않은 채 실제 운항 환경에서 선박별 데이터를 축적하고 문제점을 보완하는 데 집중하겠다는 계획이다.
이번 사태의 책임을 두고 논란이 예상된다. 충분한 시범 운항과 검증을 거치지 않고 무리하게 사업을 추진했다는 비판과 함께, 선박 건조 및 검수 과정 전반에 대한 철저한 조사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서울시는 이미 한강버스 정기권을 구매한 시민들에게 추가 지불액인 5천 원을 환불할 예정이라고 밝혔으나, 행정 신뢰도 하락으로 인한 손실은 금전적 보상만으로 회복하기 어려울 전망이다. 시민의 발이 되어야 할 대중교통이 애물단지로 전락하지 않도록, 이번 시범 운항 기간 동안 뼈를 깎는 개선 노력이 요구된다.가 지연되는 민원 서비스에 대해서는 신청 기한을 연장하는 등 국민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을 마련 중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