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정부, 370만 명 신용 사면 단행…'성실 상환자 역차별' 논란 가열

박태민 기자 | 입력 25-10-01 16:23



정부가 1일부터 역대 최대 규모의 서민 금융 지원책인 "신용 사면"을 전격 시행했으나, 정책의 사각지대에 놓인 성실 상환자들이 오히려 불이익을 받게 되는 역차별 논란으로 첫날부터 거센 비판에 직면했다. 빚을 갚기 위해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성실히 이행해 온 이들이 지원 대상에서 제외되면서 정책 설계의 정교함이 부족했다는 지적이 쏟아지고 있다.

이번 신용 사면 조치는 2020년 이후 발생한 5000만 원 이하의 소액 대출 연체자를 대상으로 한다. 이들이 올해 연말까지 연체된 원금과 이자를 전액 상환할 경우, 신용평가사에 남겨진 연체 이력 정보를 삭제해 주는 것이 핵심이다. 정부는 이번 조치를 통해 최대 약 370만 명에 달하는 인원이 신용을 회복하고, 정상적인 금융 생활로 복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기록이 삭제되면 신규 대출 신청이나 신용카드 발급 등이 가능해져 경제 활동의 선순환을 유도한다는 취지다.

하지만 정책이 발표되자마자 형평성 문제가 수면 위로 떠 올랐다. 가장 큰 논란은 연체를 피하기 위해 신용회복위원회의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신청해 꾸준히 빚을 갚아 온 이들이 정작 사면 대상에서 제외된 점이다. 금융당국은 채무조정 약정을 맺고 상환 중인 경우는 "연체 상태"로 분류되지 않기 때문에 원천적으로 대상이 될 수 없다고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빚을 방치하다가 일시에 상환하는 이에게는 신용 회복의 기회를 주면서, 제도권 안에서 상환 의지를 보여 온 이들에게는 아무런 혜택을 주지 않는 모순적인 결과를 낳았다.

코로나 대유행 시기 사업 실패로 빚을 떠안고 4년 가까이 채무조정 프로그램을 통해 원리금을 납부해 온 한 자영업자는 "성실하게 빚을 갚아온 사람만 바보가 되는 정책"이라며 "이는 명백한 역차별이며, 상환 의지를 꺾는 조치"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실제로 신용회복위원회 등 관련 기관에는 정책 발표 이후 자신의 제외 사실을 확인하고 불만을 토로하는 문의가 빗발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일각에서는 반복되는 신용 사면이 채무자들의 도덕적 해이를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도 여전하다. 구제받은 채무자가 다시 연체에 빠지는 악순환이 반복될 수 있다는 지적이다. 결국 서민에게 재기의 발판을 마련해주겠다는 선의의 정책이 성실한 채무자에게는 박탈감을, 전체 금융 시스템에는 잠재적 위험 부담을 안겨주었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워 보인다. 전문가들은 일회성 사면 조치를 넘어, 상환 의지가 있는 채무자를 실질적으로 지원하는 보다 정교하고 포용적인 금융 정책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은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음기사글이 없습니다.
속보) 코스피, 19.46포인트(0.57%) 오른 3444.06 출발
금융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단독) 셀업유니온, (주)파이온텍 전국 디렉터 세미..
차기 대통령 적합도…장동혁 18.3%, 김민석 14..
정성호, 尹 '구치소 밥투정'에 "호텔 아니다…뻔뻔..
정부, 370만 명 신용 사면 단행…'성실 상환자 ..
하이브 "1900억 부당이득" 의혹 확산, 방시혁 ..
대법원, 조희대 대법원장 주요 재판 일정 고의 누락..
속보) 특검 검사 "복귀 요청" 파문…
조국 ..
단기 출장, 비자 없어도 된다…美 "ESTA로 B-..
9월 수출 659억 달러, 월간 기준 사상 최대…반..
대한항공-아시아나 마일리지 통합안 확정…탑승 1:1..
 
최신 인기뉴스
행정 대란 현실로…정부24·온나라 등
핵심..
대통령실, 인사수석실 신설 완료… 균형인사비서관에 ..
속보) 밤샘 복구 총력전…"국정자원 네트워크 장비 ..
속보) 대통령실, 김남준 부속실장 신임 대변인 임명..
'정부24' 극적 복구됐지만…핵심 시스템 완전 정상..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완진, 국민 생활과 직결된 서비스..
행정망 마비 이틀째, 정부
"오늘 중 551..
수도권 군사보호구역 398만㎡ 해제…김포·강화·..
속보) "추석 소포 대란 막아라"…우편 서비스 대부..
속보) "국민 메신저"의 변신, 이용자 반발에 '백..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