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발생한 행정 마비 사태가 중대 고비를 맞았다. 민원 서류 발급의 핵심인 '정부24' 서비스가 29일 오전 극적으로 복구됐지만, 불에 완전히 타버린 다른 핵심 시스템들의 완전 정상화에는 앞으로 4주가 더 걸릴 것으로 전망돼 국민 불편은 장기화될 전망이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는 오늘 오전 8시 30분부로 '정부24' 서비스가 정상 운영을 재개했다고 밝혔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수요가 몰릴 것으로 예상됐던 우체국 우편 및 금융 서비스 대부분도 복구됐다. 하지만 오늘 정오 기준으로 전체 중단 시스템 647개 가운데 복구가 완료된 것은 62개에 불과해, 전체 복구율은 9.58%에 그치고 있다.
가장 큰 문제는 화재로 전소된 5층 전산실의 96개 시스템이다. 국민신문고, 국가법령정보센터, 통합보훈 시스템 등은 당분간 복구가 불가능한 상태다. 이에 중대본은 이들 시스템을 대구 데이터센터에 있는 민관협력 클라우드 구역으로 이전해 새로 구축하는 장기 계획을 발표했다. 준비와 시스템 구축을 포함해 이 작업에는 약 4주가 소요될 것으로 예상된다.
정부는 장기적인 서비스 중단에 따른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한 대책 마련에 나섰다. 각종 세금 납부 기한을 연장하고, 복구 기간 중 발급되는 모든 서류의 수수료를 전면 면제하기로 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매시간 단위로 복구 현황을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중대본은 무자격 업체가 배터리 작업에 투입됐다는 일부 의혹에 대해 "배터리 이전 작업이었으며, 투입된 인력은 자격을 보유한 전문 기술자"라고 공식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