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지방자치단체장 인터뷰에서 최근 한미 관세 협상, 부동산 대책, 지방 재정 논란 등 주요 현안에 대한 입장을 밝혔다. 김 지사는 이번 한미 협상을 “대성공”이라고 평가하며, 오세훈 서울시장의 발언에 대해 “어불성설이자 후안무치한 일”이라고 강하게 반박했다.
김 지사는 한미 관세 협상 결과를 두고 “한국이 일본과 달리 현실적인 성과를 거뒀다”며 “투자 규모, 분할 상환, 투자처 결정권, 투자 수익 배분 등 모든 면에서 균형 잡힌 협상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협상을 통해 한국 경제의 ‘3불’, 즉 불확실성·불리함·불안정성이 해소됐으며, 외환·금융 시장의 안정에도 기여했다고 평가했다.
또한 정부가 유치한 100조 원 규모의 투자에 대해서는 “반도체·바이오 등 미래 먹거리 산업 발전의 디딤돌이자 경기 활성화에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부동산 정책과 관련해 김 지사는 서울 및 경기 12개 지역의 토지거래허가구역 확대 조치에 대해 “긴급 상황에서 긴급 처방을 잘한 조치”라며 “실제 수도권 집값 안정세가 나타나고 있어 단기 효과는 긍정적”이라고 평가했다. 다만 “이제는 집값을 자극하지 않으면서 공급을 늘리는 ‘좋은 공급’이 필요하다”며 “경기도가 그 중심에 서겠다”고 밝혔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소비 쿠폰과 재난지원금이 지방 재정을 악화시켰다”고 주장한 것에 대해선 “어불성설이며 후안무치한 일”이라고 강도 높게 비판했다. 김 지사는 “지방 재정을 어렵게 만든 것은 윤석열 정부의 긴축 재정과 잘못된 운용 때문”이라며 “소비 쿠폰이 부동산 가격을 올렸다는 주장은 사실과 다르다. 오히려 토지 허가제를 풀었다 다시 묶은 과정에서 서울 부동산이 급등했다”고 반박했다.
소비 쿠폰 정책에 대해서는 “지금은 정부가 돈을 써야 할 때 재정을 확대해 경기 회복에 나서야 한다”며 적극 찬성 입장을 밝혔다.
내년 지방선거 출마 여부에 대해 김 지사는 “지금은 논의할 때가 아니다”라며 “이재명 정부의 성공을 위해 도정 성과를 내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말했다.
김동연 지사는 끝으로 “한미 협상의 성과를 바탕으로 경기도가 미래 산업 중심지로 도약하겠다”며 “정치적 논란보다 실질적인 경제 성과로 국민에게 신뢰받는 도정을 펼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