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특허청, 쿡방 전성시대에 ‘셰프’ 상표출원 활발

최종호 기자 | 입력 16-05-15 08:17

쿡방(요리방송) 프로그램이 인기를 끌고 있다. 방송사에서 경쟁적으로 프로그램을 편성하며 시청자들의 시각과 미각을 사로잡고 있다. 신조어인 ‘쿡방’의 뜻을 살펴보면 먹방(먹는 방송)이 한 단계 진화해 요리하다는 뜻의 ‘쿡(Cook)’과 ‘방송’의 합성어로 해석된다. 쿡방 프로그램이 연예인과 스타 셰프(Chef) 등이 직접 요리하고 레시피를 공개, 시청자들과 소통하면서 대세로 자리 잡고 있다.

쿡방 프로그램이 전성시대를 맞으며 프로그램의 주인공인 ‘셰프(Chef)’와 결합된 상표 출원이 크게 활기를 띠고 있다.

최근 특허청(청장 최동규)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셰프(Chef)’와 결합된 상표는 2011년 102건, 2012년 173건, 2013년 208건, 2014년 210건, 2015년 302건 등으로 지난 5년간 출원 건수가 급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셰프(Chef)’의 대중적 인기도가 정점에 오른 지난 2015년에는 302건으로 전년(210건) 대비 43.8%(92건) 증가했다.

반면에 ‘요리사’, ‘주방장’이 들어간 상표 출원은 같은 기간(‘11~’15) 6건, 7건, 9건, 8건, 11건으로 지난 5년간 총 41건에 불과했다.

방송에서 유명 셰프들이 그들만의 독특한 레시피를 경쟁적으로 선보이고 사회적으로도 ‘셰프(Chef)’가 핫 이슈가 되면서 ‘셰프(Chef)’ 관련 상표 출원은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나, 과거에 사용됐던 ‘요리사’나 ‘주방장’ 관련 상표 출원은 미미한 수준이다.

누구나 손쉽게 요리를 접하고 배울 수 있는 다양한 방송, 프로그램 등이 늘어남에 따라 과거 여성의 전유물이었던 요리문화가 전 계층으로 확대되면서, ‘셰프’, ‘Chef’, ‘쉐프’와 결합된 상표출원도 계속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특허청 최규완 상표디자인심사국장은 “상표는 사회적 트렌드를 반영하는 경향이 있다” 며 “셰프(Chef)가 요리관련 업종(요식업)에는 식별력 없는 문자에 해당되어, 출원 시 도형 또는 식별력 있는 문자 등과 결합하여 출원해야 등록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전경련, ‘7대 갈라파고스 규제개혁 시 일자리 92.3만개 생겨’
대한상의, 5월 6일 임시공휴일 지정 건의
산업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제천 의림지 놀이공원서 "안전장치 풀림" 사고… 초..
속초 오징어 난전 "불친절 논란"에 결국 영업정지…..
속보) 이재명 대통령, "모든 산재 사망,
..
속보) 북한, 대남 확성기 철거 시작… 남북 "심리..
주말 남부지방 "물폭탄", 최고 200mm 이상 집..
특검, 김건희 일가 '이우환 그림' 유통 경로 확인..
조국 복귀 임박에 술렁이는 정치권…'서울시장 출마'..
정청래, 취임 첫주 '선명 개혁'…협치 대신 '마이..
속보) 국민의힘, '배신자' 소란 전한길, 국힘 중..
전한길,합동연설회 소란에…조경태·안철수 "출당, ..
 
최신 인기뉴스
단독) 조국대표, 최강국 (전)국회의원 광복절 특사..
속보) 이재명 대통령, "모든 산재 사망,
..
속보) 코스피, 삼성전자 강세에 3,200선 회복…..
속보) 6월 경상수지 142.7억 달러 흑자…역대 ..
한낮 33도 폭염 속 주말 남부엔 150mm '물폭..
단독) 변호사 3만시대 "징계 변호사 급증"
김건희 여사, 나토 순방 반클리프 목걸이 "가짜..
속보) 김건희 여사, 자본시장법 위반 등
혐..
단독) 더불어민주당 정청래 당대표 5·18민주묘지..
속보) 내란 특검, 최상목 전 경제부총리 오후 4시..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