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세계환자안전서밋, 불필요한 제왕절개 절감 목표

최종호 기자 | 입력 18-03-01 10:49

2월 24일(토) 런던에서 열리는 2018 세계 환자안전과학기술서밋(2018 World Patient Safety Science & Technology Summit)에 제왕절개 분만 및 산후 합병증을 겪은 두 명의 생존자가 패널로 참여했다.


연구에 따르면 제왕절개에 의한 신생아 분만이 증가추세에 있지만 이 중 절반 정도가 불필요하며 수술에 따른 합병증은 잘 알려져 있지 않거나 인식되지 않고 있다. 환자안전활동재단(Patient Safety Movement Foundation)은 병원 내 불필요한 제왕절개 절감 패널(Reducing Unnecessary C-Sections in Hospitals Panel)에 특별한 패널리스트의 참여를 발표했다. 질 아몰드(Jill Arnold)와 크리스틴 테를리지(Kristen Terlizzi)는 제왕절개로 태아를 분만하던 중 위독한 상황을 넘기고 이후 합병증을 겪으면서 열렬한 환자안전 옹호자가 됐다.

통계: 국제적으로 제왕절개는 증가추세에 있으며 라틴아메리카/카리브해 지역은 평균 40.5%, 아프리카 지역은 7.3% 등이다(Betran 2016). 미국에서는 환자의 3분의1 정도가 수술을 통해 분만을 하며(Martin, 2017) 국제 전문가들은 이러한 높은 제왕절개 비율이 중대한 모성 건강 문제를 야기한다고 지적했다(여성건강관리 환자안전협의회 2016(Council on Patient Safety in Women’s Health Care 2016)).

크리스틴 테를리지의 산후 치료는 매우 극단적인 사례로 과학 저널의 사례연구 대상이 됐다. 제왕절개 이후 그녀는 태반조직이 자궁 안에 남아 다른 장기에 영향을 주는 태반유착증을 겪었다. 교정 수술 중 출혈이 너무 심해 체내의 모든 혈액이 수혈될 정도였다.

질 아몰드는 매우 건강한 상태로 별 위험 없이 임신과 분만을 순탄하게 마쳤지만 미국 내에서 산후 관리에 대한 인식 부족 탓에 위험에 직면했다. 그녀는 심부정맥혈전(Deep Vein Thrombosis, DVT) 증상을 보이기 시작했고 위독한 상황으로 이어졌다. 아몰드는 “다리 길이의 혈전이 내 발목에서 사타구니까지 확장된 표재정맥에 발생했다”고 말했다.

불필요한 제왕절개는 수술 후 자궁 흉터 파열, 이상 태반, 출혈위험 증가, 자궁적출 등을 포함한 장기적인 건강 위험에 노출(Bauserman 2015, Marshall 2011, Rageth 1999, Galyean 2009)되며 이러한 합병증은 앞선 제왕절개술의 회수에 따라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한다(Clark 1985).

불필요한 제왕절개 절감 패널에서는 전세계 우수 사례들을 소개하고 이 주제와 관련한 새로운 실행 가능한 환자안전솔루션(Actionable Patient Safety Solutions)을 발표했다.

[런던 = 환자안전활동재단(Patient Safety Movement Foundation) ]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의료기술 분야 선도기업들, 세계 환자안전 과학기술 서밋서 공개 데이터 사용 논의
5년간 남성 목디스크 환자 18.3% 증가
좋은생각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임은정 "檢 권한 움켜쥐던 시대 저물어야"… '검찰..
양주 찜질방서 LPG 폭발… 3명 중상 등 28명 ..
속보) 복지신청 막히고 화장예약도 '불통'… 취약계..
속보) 모바일 신분증 먹통에 항공기 탑승 '비상'…..
천대엽 "비상계엄 재판, 역사적 중요성 알아… 신뢰..
"데이터 지키려 물 못 뿌려"… 국정마비 부른 '리..
국가전산망 마비, 우편·금융까지 번졌다… 추석 앞..
속보) 이재명 대통령, 국정 마비 사태에 밤샘 점검..
속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행정망 마비…
속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모바일 신분증 등 정..
 
최신 인기뉴스
세종시 '전세 매물 가뭄'…이사철 수요에 가격은 '..
K-뷰티 혁신기업 (주)파이온텍 김태곤 대표
속보) '3617번' 수용복 입고 85일 만에 법정..
부산 SNT모티브 공장서 총기 사고 추정 사망…경찰..
속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행정망 마비…
속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모바일 신분증 등 정..
속보) 이재명 대통령, 국정 마비 사태에 밤샘 점검..
속보) 78년 검찰청 해체 역사속으로
한미 관세 협상 "안갯속"…미국, 투자 증액과
속보) 모바일 신분증 먹통에 항공기 탑승 '비상'…..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