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신고의무자 교육 지원 아동학대 예방에 기여

김영란기자 | 입력 18-06-28 20:32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5년 동안 아동학대 발생 건수는 2013년 6796건에서 2017년 2만2157건으로 약 3.3배나 증가하였다. 최근에는 고준희 양 사망 사건, 광주 3남매 화재 사망 사건 등 전 국민을 충격에 빠트린 아동학대 사망사건이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아동학대의 예방과 근절을 위해서는 조기발견이 중요하다. 조기 발견의 핵심은 아동과 밀접하게 생활하는 전국의 다양한 아동학대 신고의무자의 적극적인 신고 참여가 중요함에 따라 아동복지법에서는 아동학대신고의무자에 대한 연 1회 교육실시가 의무화 되어 있어 교육의 중요성이 점점 더 높아지고 있다.

특히 4월 25일부터는 ‘아동복지법’ 제26조(아동학대 신고의무자에 대한 교육) 개정에 따라 의무교육 대상이 5개 직군(어린이집, 유치원, 학교, 종합병원, 아동복지시설)에서 아동을 접할 기회가 많은 신고의무자가 소속된 모든 직군(24개)으로 확대되어 모든 아동학대 신고의무자가 소속된 기관, 시설 등의 장은 신고의무자에 신고의무 교육을 해야 한다. 이에 따라 신고의무자는 매년 1시간 이상 교육을 받아야 하며 미교육 시 과태료 처분되므로 2018년 반드시 교육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이에 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원장 직무대행 박민수, 이하 ‘인력개발원’)은 아동학대신고의무자가 교육을 이수할 수 있도록 ‘아동학대신고의무자교육 전용플랫폼’을 구축하여 온라인 교육을 진행하고 있다.

신고의무자교육 전용 플랫폼 홈페이지를 통해 전국의 아동학대 신고의무자는 누구나 무료로 수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현재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사이버교육은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사례로 배우는 아동학대신고 2개의 과정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아동학대신고의무자 과정에서는 △아동학대의 개념과 유형 △관련 제도 및 법령 △학대 신고방법과 절차 등을, 사례로 배우는 아동학대 신고 과정에서는 △아동학대 신고의무자 직군별 사례 △학대의 유형과 유형별 징후 △아동학대범죄 신고와 신고자보호를 배울 수 있다.

인력개발원은 신고의무자로서의 역할과 중요성을 다시 생각하게 하고 조기발견을 통해 아동학대를 예방할 수 있도록 신고의무자 교육 콘텐츠를 지속적으로 보완·개발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서울=한국보건복지인력개발원]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통일교육협의회 참여형 통일교육 ‘교동도에서 평화와 통일을 담다’ 개최
서울시, 찾아가는 위안부 역사 교육 초·중학교 실시
교육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폭우 속 술자리 의총…국민의힘 경북도의회, 부적절 ..
신생아에 "낙상 마렵다"…간호사 3명 아동학대 혐의..
속보) '채해병 특검', 이시원 전 비서관 31일..
나경원 "탄핵 반대는 잘못 아냐"…혁신위 인적쇄신론..
속보) 울산 병원 주차장 살인미수, 이별 통보에 앙..
속보) 전북 지방의회, 국외 연수비 부정 의혹 확산
속보) 이재명 대통령 "폭염은 국가 비상사태"
속보) 윤석열 전 대통령, 특검 첫 소환 불응
속보) 주식 양도세 기준 '10억 회귀'…1년 반 ..
속보) 조태용 전 국정원장, ‘채 상병 특검’ 피의..
 
최신 인기뉴스
"폭우가 와도 매일 그 자리에"…故 서희원 묘지 지..
김건희 특검, 나토 순방 당시 김 여사 착용 '고가..
속보) 전국 35도 안팎 무더위 기승, 서울 37도..
'민생회복 소비쿠폰' 5일 만에 3,600만 명 이..
서울 길음동 기원서 칼부림 발생, 3명 부상…70대..
인천 부평시장역 상가 건물 지하서 염산 누출 사고
속보) 서울 낮 최고 38도 예고, '살인 폭염' ..
속보) '명태균 공천개입 의혹' 수사 확대… 함성득..
우원식 국회의장, 수감 중인 조국 전 대표 면회… ..
한미 산업·통상 장관, 이틀째 협상 이어가… 관세..
 
신문사 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