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백악관이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이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목표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의 대화에 여전히 열려 있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하지만 이에 대해 북한은 자신들의 "핵보유국 지위는 불변"이라며 미국의 대화 제의에 즉각적으로 선을 긋고 나서, 북미 간의 팽팽한 기 싸움이 이어지고 있다. 양측의 근본적인 입장차가 여전히 해소되지 않고 있지만, 첨예한 대립 속에서도 대화의 가능성 자체는 꺼지지 않는 모양새다.
백악관 고위 관계자는 28일(현지시각), 북한의 핵 프로그램을 완전히 종료하기 위한 협상에 트럼프 대통령이 응할 의지가 있음을 분명히 했다. 이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의 첫 임기 시절 세 차례의 역사적인 북미 정상회담이 한반도를 안정시키고 비핵화에 관한 최초의 정상급 합의를 이끌어냈다는 점을 상기시키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러한 목표를 계속 유지하고 있으며 완전한 북한 비핵화를 달성하기 위해 김 위원장과 소통하는 데 여전히 개방적"이라고 강조했다. 이는 최근 미국 정부가 북한의 불법 외화벌이에 대한 신규 제재를 발표하는 등 압박 수위를 높이는 것과는 별개로, 외교적 해법의 문을 닫지 않겠다는 메시지로 해석된다.
하지만 미국의 이러한 입장 표명 직후 북한은 김여정 노동당 부부장을 통해 즉각 반박에 나섰다. 김 부부장은 담화를 통해 "미국이 변한 현실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실패한 과거에 계속 매달린다면 북미 회동은 한갓 미국 측의 '희망 사항'으로만 남게 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특히 그는 "핵보유국으로서의 우리 공화국의 지위를 부정하려는 그 어떤 시도도 철저히 거부될 것"이라고 못 박으며, '완전한 비핵화'를 전제로 한 대화에는 응할 수 없다는 입장을 명확히 했다. 다만 김 부부장은 김정은 위원장과 트럼프 대통령의 개인적인 관계가 "나쁘지 않다"고 언급하며 여지를 남겨, 향후 대화 국면 전환의 미세한 가능성을 시사하기도 했다.
이처럼 북미 양측은 '완전한 비핵화'와 '핵보유국 지위 인정'이라는 서로 물러설 수 없는 원칙을 고수하며 평행선을 달리고 있다. 미국은 대화의 전제조건으로 비핵화 목표를 견지하는 한편, 북한은 자신들의 전략적 지위가 과거와 근본적으로 달라졌다는 현실 인정을 요구하고 있다. 싱가포르와 하노이, 판문점으로 이어진 과거 세 차례의 만남에서 쌓인 양 정상 간의 개인적 친분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인 비핵화 협상은 교착 상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것이다. 전문가들은 양측이 탐색전을 이어가며 신경전을 벌이고 있지만, 대화의 판 자체를 깨지는 않으려는 의도 또한 분명하다고 분석한다. 향후 북미 관계가 유의미한 진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양측 모두 기존의 입장에서 벗어나는 유연하고 창의적인 접근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