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금융의 대명사인 새마을금고가 반복되는 내부 비위 문제로 또다시 신뢰의 위기를 맞고 있다. 새마을금고중앙회 핵심 자회사인 MG신용정보의 한 임원이 자신의 배우자를 부당한 방법으로 채용했다는 의혹이 제기되면서, "윤리경영"과 "인사 투명성"을 강화하겠다는 그간의 약속이 구호에 그치고 있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상호금융업계에 따르면, 새마을금고중앙회가 지분 100%를 보유한 MG신용정보의 A 상무는 최근 내부감사 대상에 올랐다. 그는 자사의 직원 채용 과정에서 배우자가 지원할 수 있도록 영향력을 행사하고, 서류심사와 면접 등 형식적인 절차를 거쳐 최종 합격시키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는 공개경쟁 채용 원칙과 내부 인사 규정을 정면으로 위반하는 행위로, 절차적 공정성을 심각하게 훼손했다는 지적이 나온다.
새마을금고중앙회는 관련 민원을 접수한 즉시 내부감사에 착수해 이미 상당 부분 사실관계를 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중앙회 관계자는 "현재 해당 임원의 소명을 듣는 절차를 진행 중이며, 향후 징계위원회 회부 등 후속 조치를 내부적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번 사안이 단순한 개인의 일탈을 넘어 새마을금고의 고질적인 '도덕적 해이'를 보여주는 단적인 사례라는 점에서 파장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새마을금고는 과거부터 임직원 횡령, 금고 이사장의 채용 청탁 등 끊임없는 비위 사건으로 금융당국과 국회의 집중적인 감시를 받아왔다. 그때마다 내부통제 강화와 투명성 제고를 약속했지만, 유사한 사건이 반복되면서 조직 전체의 신뢰성에 치명타를 입고 있다. 특히 MG신용정보는 연체 채권 관리 및 신용 회복 지원 등 금융 취약계층과 직접적으로 맞닿아 있는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이라는 점에서 이번 사태의 심각성은 더욱 크다. 자회사의 도덕성 훼손이 곧 서민금융기관이라는 새마을금고의 정체성을 뿌리부터 흔들 수 있기 때문이다.
금융권에서는 이번 사태에 대한 새마을금고중앙회의 처리 결과가 향후 조직의 대외 신뢰도를 가늠하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만약 이번에도 솜방망이 처벌에 그친다면, 비판 여론은 걷잡을 수 없이 커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금융권의 한 관계자는 "투명한 조사 결과 공개는 물론, 재발 방지를 위한 실효성 있는 제도 개선책을 함께 내놓아야 무너진 신뢰를 조금이나마 회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