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국민의힘, '야당 탄압 규탄' 대구 집회… '尹 연호'와 '부정선거' 주장이 뒤덮어

김희원 기자 | 입력 25-09-22 09:47



국민의힘이 현 정권의 "야당 탄압"을 규탄한다며 5년 8개월 만에 대규모 장외 집회를 열었으나, 당초 의도와 달리 현장은 "윤석열 구하기"와 "부정선거론"이 지배하며 당내의 복잡한 기류를 노출했다. 당 지도부는 집회의 초점을 대여 투쟁에 맞추려 했지만, 보수 텃밭인 대구에 집결한 강성 지지층의 목소리가 이를 압도하는 양상을 보였다.

지난 21일, 국민의힘은 "보수의 심장"으로 불리는 대구에서 지도부와 당원이 대거 참여한 가운데 "야당탄압 독재정치 국민 규탄대회"를 개최했다. 이는 2020년 1월 이후 처음으로 열리는 대규모 장외 집회로, 당 지도부는 최근의 특검법 정국과 사법부를 향한 여권의 공세를 "민주주의 파괴 행위"로 규정하고 이에 대한 저항의 목소리를 결집하는 데 주력했다.

그러나 집회 현장의 분위기는 당 지도부의 구상과는 다소 다르게 전개됐다. 당초 국민의힘은 집회의 본질이 흐려질 것을 우려해 "윤석열 어게인"과 같은 특정인 관련 구호나 피켓 사용을 금지한다고 공지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집회 현장 곳곳에서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석방을 촉구하는 깃발이 등장했으며, 참가자들은 자발적으로 "윤석열 대통령"을 연호했다.

특히 집회에는 지난 대선이 부정선거였다고 주장하는 인사들이 대거 참여해 목소리를 높였다. 문제는 이러한 주장이 일부 지지자들에게서만 나온 것이 아니라는 점이다. 당 지도부에 속한 한 최고위원은 연설 도중 지난 대선 결과에 의문을 제기하는 취지의 발언을 쏟아내며 논란을 지폈다. 이는 공식적으로 선거 결과에 승복한 당의 입장과 정면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집회의 명분을 스스로 훼손했다는 비판을 낳고 있다.

이번 대구 집회는 국민의힘이 처한 딜레마를 명확히 보여줬다는 분석이다. 당 지도부는 외연 확장을 통해 수권 정당의 면모를 갖추고자 하지만, 당의 핵심 지지층은 여전히 과거의 선거 결과와 특정 인물에 대한 충성심을 강하게 표출하고 있다. 대여 투쟁의 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장외로 나섰지만, 오히려 당내에 존재하는 노선 갈등과 강성 지지층의 막강한 영향력만 재확인한 셈이 됐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음기사글이 없습니다.
'통일교 당원 12만' 의혹에 국민의힘 "통계학적으로 정상"…'책임당원' 규모는 함구
정당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김건희·권성동 불법 로비' 의혹 정점…한학자 통..
속보) 한미일 외교장관, 22일 뉴욕서 회동…북러 ..
속보) 中, 사실상 기준금리 LPR 넉 달째 동결…..
새마을금고, 또 '채용 비리' 의혹… 자회사 임원 ..
국민의힘, '야당 탄압 규탄' 대구 집회… '尹 연..
코스피, 외국인 귀환에 3480선 돌파… 사상 최고..
현대차, 조지아 공장 대규모 투자 발표... "이민..
'3800억 신화' 전설의 트레이더 AOA, 침묵 ..
특검 "통일교 1만명, '권성동 지원' 조직적 입당..
이재명 대통령 "외국군 의존은 굴종적 사고…강력한 ..
 
최신 인기뉴스
미국, 전문직 비자 H-1B 수수료 1억 4천만원으..
구속 수감 중인 김건희, 전자발찌 차고 휠체어 탄..
속보) 이 대통령, 22~26일 방미…한국 정상 최..
속보) 코스피 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8% 상승한..
속보) '내란 혐의' 윤석열 전 대통령, 특검 24..
트럼프·시진핑, 10월 경주 APEC서 담판…한반..
'통일교 당원 12만' 의혹에 국민의힘 "통계학적으..
운항 사흘 만에 '스톱'…한강 리버버스, 팔당댐 방..
"수능·내신 절대평가 전환" 교육부 장관 발언에 ..
속보) '법인카드 유용 혐의' 이진숙 방통위원장 검..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