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조직개편에 따른 부처별 이전 일정을 이달 안으로 확정할 예정이다. 다음 달 부산으로 이전하는 해양수산부를 시작으로 내년 상반기까지 약 1700명 규모의 공무원 이동이 단계적으로 진행된다. 정부는 공무원 혼란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가(公暇) 지원 등 행정적 조치를 병행하겠다는 방침이다.
행정안전부 정부청사관리본부는 현재 이전 대상 부처들과 청사 배치 조정 및 이전 일정을 협의 중이다. 이전 대상에는 해양수산부, 내년 1월 기획재정부에서 분리돼 출범하는 기획예산처, 기후에너지환경부 에너지실,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행복청) 등이 포함된다. 행복청은 조직개편 대상은 아니지만 세종청사 공간 재배치 과정에서 함께 이전하는 방안이 검토되고 있다.
이 중 기획예산처의 이전 장소는 이미 확정됐다. 다음 달 8일부터 부산 동구 IM빌딩과 협성타워로 이전하는 해양수산부가 먼저 기존 공간을 비우면, 정부세종청사 4·5·6동에는 기획예산처가 입주한다. 기재부 예산실이 사용 중인 중앙동은 행복청 이전 후보지로 논의되고 있으며, 세종청사 6동 3·4층에는 기후부 에너지실 배치안이 검토되고 있다.
에너지실은 지난달 정부조직법 개정으로 산업통상자원부에서 기후부로 이관됐지만 물리적 이전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에너지실이 세종청사 6동으로 옮겨갈 경우 기후·에너지 정책 조직을 한 건물 안으로 묶는 조직개편 취지가 실질적으로 완성된다. 에너지실이 떠난 정부세종청사 13동에는 산업부 무역위원회를 이전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이번 개편으로 이동하는 공무원은 약 1700명으로 추산된다. 해양수산부 약 900명, 기획예산처 400여명, 행복청 200여명, 기후부 에너지실 200여명 수준이며, 실제 이동 인원은 정원 변동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전 비용은 각 부처가 본예산 또는 예비비로 부담한다. 정부조직법 개정이 9월 말에 통과된 만큼, 예산 편성 시점과의 간격을 고려해 부처별 추가 조정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전 순서는 해양수산부→기획예산처→행복청→기후부 에너지실 순으로 진행된다. 행안부는 한 부처가 이전을 완료하는 데 최소 두 달이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설계, 공사, 장비 이전 등 단계별 용역 발주와 입찰 절차를 거쳐야 하기 때문이다. 다만 부처별 인원 규모와 기존 입주 부처의 퇴거 일정, 인테리어 기간 등에 따라 기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정부는 공무원 부담을 줄이기 위해 이사 준비 시 사용할 수 있는 1일 공가 제도도 마련했다. 인사혁신처는 관련 내용을 담은 ‘국가공무원 복무규정 일부개정령안’을 입법예고했으며, 시행 시 해양수산부를 비롯한 이전 대상 부처 공무원은 개인 연가를 쓰지 않고도 이사 준비가 가능해진다. 인사처는 “기관 이전은 업무 수행을 위한 이동으로 공가 부여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정부는 이달 말까지 각 부처의 이전 계획을 최종 확정하고, 늦어도 내년 상반기까지 대규모 이전을 모두 마무리할 방침이다. 행안부 관계자는 “일부 부처는 여전히 협의 중이라 최종 일정은 유동적”이라며 “공사·설계 등이 중첩될 수 있도록 조율해 이전 기간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