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연비 불만, 주로 도심연비 때문

송윤성 기자 | 입력 14-06-26 08:40

자동차전문 리서치회사 마케팅인사이트(www.mktinsight.co.kr)는 제 13차 자동차기획조사(2013년 7월 자료수집)에서 지난 1년간 새 차를 산 소비자들(7,811명)이 체감하는 도심연비와 고속도로연비를 묻고, 그 차의 공인 복합연비를 얼마로 알고 있는지 물었다. 이를 조합하여 여러 가지 체감연비와 체감비율을 산출해 소비자들이 느끼는 연비가 어떠한지를 확인했다.

소비자가 느끼는 자기 차의 도심연비는 공인 복합연비의 80% 수준이었고, 이것이 연비에대한 불만의 주 된 원인이다. 수입차의 체감연비는 국산차보다 15% 정도 높은것으로 조사 되었다.

우선 소비자의 인지 복합연비는 평균 12.9㎞/ℓ로 공인 복합연비(13.1㎞/ℓ) 보다 0.2㎞/ℓ 적었으나, 실제에 매우 근접한 수준(97.1%)인 것으로 나타났다(공인 도심연비 10㎞, 실제로는 8.6㎞간다). 이는 소비자가 자기 차의 연비를 비교적 정확히 파악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인지 복합연비와 체감연비의 비교를 통해 소비자의 연비에 대한 평가가 형성됨을 알 수 있다.

이들에게 체감하는 도심연비와 고속도로연비를 물은 결과 체감 도심연비는 10.3㎞/ℓ, 체감 고속도로연비는 13.9㎞/ℓ였다[그림1]. 이 결과는 운전자들이 평균적으로 체감 도심연비는 공인 복합연비의 80%, 체감 고속도로연비는 108% 수준으로 지각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즉, 체감 고속도로연비는 8% 정도 인지 복합연비보다 높게, 체감 도심연비는 20% 정도 낮게 보고 있다.

국산차와 수입차를 비교하면 수입차의 연비가 국산차 보다 10%이상 좋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지 복합연비는 수입 14.1㎞/ℓ, 국산 12.7㎞/ℓ로 수입차가 1.4㎞/ℓ(11%) 더 많았으며, 체감 도심연비와 체감 고속도로연비에서는 15% 이상 수입차가 높았다. 이는 수입차의 연비가 15% 정도 좋을 것이라는 일반인의 추정([연비1] 국산차는 가격, 수입차는 ‘OO’보고 산다)과 일치한다.

연비의 브랜드간 비교는 수입차의 압승으로 나타났다. 모든 측면에서 수입 브랜드가 1위~4위를 석권했으며, 수입차는 국산차 보다 15% 정도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아직까지 수입차 중 경-소형차의 비중이 적다는 점을 감안하면 국산차의 열세는 이보다 더 심각한 수준이라 할 수 있다. 실제 국산차의 체감연비는 비슷비슷하고, 국산차 1위는 수입차 최하위와 비슷하다. 연비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점점 커지고 있다. 하루 빨리 이런 심각한 열세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시장을 지키기는 점점 어려워질 것이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스마트폰 과사용이 목디스크 유발가능성 증대
‘수면 임플란트’ 치과 치료로 공포증 극복할 수 있어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이시바 일본 총리, 패전일 추도사서 13년 만에 '..
현역 태권도 관장, 여자친구 폭행 후 주거침입 시도..
속보) '김건희 집사' 김예성, 구속심사 출석…신병..
통일교 총재 금고에서 거액 현금 다발 발견…특검, ..
이재명 대통령, 광복 80주년 경축사…남북 평화공존..
광복절 연휴 무더위 지속…전국 곳곳 소나기, 충청 ..
광복 80주년, 독립유공자 6인 유해 봉환…안중근 ..
단독) 조국 전 대표,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석방…<..
국민의힘 윤리위, '배신자 선동' 전한길에 '경고'..
단독) 서울구치소, 윤석열 전 대통령 '휴대전화 특..
 
최신 인기뉴스
단독) 조국 전 대표, 광복절 특별사면으로 석방…<..
이재명 대통령 국민임명식·대규모 집회로 경찰 6천..
"김건희, 서울남부구치소 독방 수감…전직 대통령 배..
"카카오톡 메시지 삭제, 최장 24시간으로 확대…익..
속보) '박정훈 항명 입건' 국방부 검찰단장, 특검..
속보) "코스피, 뉴욕증시 훈풍에 3200선 회복…..
단독) 구속된 김건희, 오늘 특검 소환조사…'반클리..
"김건희 특검, '관저 이전' 특혜 의혹 전방위 압..
"이 대통령, 교육부·여가부 장관 후보자 지명…<..
속보) "법원, '술자리 의혹 제기' 김의겸 의원에..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