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스마트 병원들이 클라우드 컴퓨팅과 데이터 분석에 110억달러 투자할 것으로 전망

최종호 기자 | 입력 17-12-20 09:29

2025년까지 전세계 종합병원들 중 약 10%가 스마트 병원이 되거나 스마트 병원이 되기 위한 구현 작업을 시작할 것으로 보인다. 프로스트 앤 설리번 한국 지사가 발표한 ‘스마트 병원의 미래(Future of Smart Hospitals)’ 보고서는 스마트 병원과 관련된 아래 4개의 주요 부문에서 상당한 시장 성장 기회와 시장 수익을 기록할 것으로 예측했다.

-약국 자동화
-모바일 자산 추적
-데이터 분석
-클라우드 컴퓨팅


프로스트 앤 설리번 ‘스마트 병원의 미래’ 보고서는 스마트 병원은 어떻게 운영되며 디지털 병원과는 어떻게 다른지 그리고 이들의 지역별 성장 및 스마트 병원으로 변화를 원하는 병원들을 위한 로드맵에 대한 분석과 사례연구 및 현재 시장 역학에 대해 논하고 있다.

프로스트 앤 설리번은 2018년 스마트 병원과 관련한 데이터 분석 시장 수익이 59억달러, 클라우드 컴퓨터 시장 수익이 51억달러를 기록하며 전체 시장 기회 가치가 약 11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측했다.

프로스트 앤 설리번 심진한 팀장은 “진정한 스마트 병원은 첫번째 단계로 디지털화를 수용하고 운영 효율성과 우수한 임상, 환자 중심, 이 3가지 주요 분야에 초점을 맞춰 이들로부터 정확한 인사이트를 이끌어 내도록 기술 발전을 잘 활용할 수 있어야 한다”고 밝혔다.

이어 심진한 팀장은 “모든 병원이 한번에 스마트해질 필요는 없다. 스마트 솔루션을 하나씩 구현한 다음 기존의 시스템과 더 새로워진 시스템들을 통합시켜 스마트 병원으로 점차 자림매김할 수 있다. 이는 한정된 자금 투자와 보상, ROI로 솔루션 구현을 차례대로 가능케 한다”고 말했다.

관련 기업들의 활약을 살펴보면 GE Healthcare는 존스 홉킨스 병원(Johns Hopkins Hospital)의 ‘커맨드 센터(Command Center)’ 솔루션을 비롯해 환자 흐름을 위한 최신 솔루션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주목할 만한 것은 캐나다 해밀턴 의료 과학 기관을 위해 개발된 코드 블루(Code Blue) 발생을 줄여주는 솔루션처럼 사용자 맞춤 기능을 보유한 ThoughtWire Ambiant 플랫폼이다. 한편 IBM은 피츠버그 의료 센터 (Pittsburgh Medical Center)와 함께 ‘SmartRoom’ 컨셉을 개발하고 마케팅 활동이 한창이며 Omnicell은 전 세계 여러 병원들 및 의료 시스템에서 사용 중인 약국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했다.

스마트 병원 컨셉을 도입 단계에 있어 지역별로 살펴보면 기술 발전과 규제 환경, 구매력, 실사용자들의 인지에 관해서는 북미 지역이 선도하고 있으며 유럽과 아태지역이 그 뒤를 따르고 있다. 하지만 최근 스마트 병원에 대한 핫스팟으로는 한국과 두바이, 싱가포르, 호주 등 아태지역에 집중되어 있다. 이 국가들 중 일부는 의료 관광 산업 관련해서도 주목받고 있는 곳이다. 이 밖에도 캐나다와 핀란드 역시 스마트 병원 핫스팟으로 거론되고 있다.

심진한 팀장은 “스마트 병원 비전을 달성하기 앞서 해결해야 할 가장 큰 과제는 바로 상호운용성과 사이버 보안이다. 정확한 인사이트를 도출해 진정한 스마트를 실현시키려면 병원 내 다양한 기기와 시스템, 네트워크들이 전체론적 분석을 위해 일관되고 완전한 방식으로 서로 소통해야 한다. 또한 디지털화로 인해 취약성이 더해져 해커들에게 표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사이버 보안 문제가 우려된다”고 덧붙였다.

[서울 =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혁·표정의 교수 연구팀, ‘운동량·운동강도 따라 역류성식도염 위험 최대 50% 감소’ 연구 결과 발표
건보공단 “60대 이상 여성 10명 중 1명 골다공증 앓아”
좋은생각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삼청교육대 피해자 국가배상소송 상소 취하·포기
조희대 대법원장, '대선 개입 의혹' 청문회 불출석..
‘기대’가 ‘우려’로… 한강버스, 운항 열흘 만에 ..
행정망 마비 이틀째, 정부
"오늘 중 551..
대통령실, 인사수석실 신설 완료… 균형인사비서관에 ..
전국 흐리고 가을비… 오후 서쪽부터 점차 갠다
속보) 밤샘 복구 총력전…"국정자원 네트워크 장비 ..
국가정보자원관리원 완진, 국민 생활과 직결된 서비스..
임은정 "檢 권한 움켜쥐던 시대 저물어야"… '검찰..
양주 찜질방서 LPG 폭발… 3명 중상 등 28명 ..
 
최신 인기뉴스
속보) '3617번' 수용복 입고 85일 만에 법정..
속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행정망 마비…
속보) 모바일 신분증 먹통에 항공기 탑승 '비상'…..
속보) 이재명 대통령, 국정 마비 사태에 밤샘 점검..
속보)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모바일 신분증 등 정..
속보) 78년 검찰청 해체 역사속으로
국가전산망 마비, 우편·금융까지 번졌다… 추석 앞..
한미 관세 협상 "안갯속"…미국, 투자 증액과
속보) 밤샘 복구 총력전…"국정자원 네트워크 장비 ..
33년 만에 풀린 '문신'…합법화 첫발 뗐지만 의료..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