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라이프 문화 오피니언 유통 미디어
 

 

빛의 시어터, 미술관 밖에서 만나는 몰입형 예술 전시 관람 기회 마련

고민지 기자 | 승인 24-06-11 23:54 | 최종수정 24-06-11 23:54(편집국)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빛과 음악을 통해 색다른 예술적 경험을 선사하는 복합문화예술공간 빛의 시어터가 전시장 밖에서도 작품을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했다.

빛의 시어터에서 진행 중인 전시 ‘베르메르부터 반 고흐까지, 네덜란드 거장들’의 작품을 만나볼 수 있는 지하철 미술관이 7월 9일까지 운영된다. 서울 지하철 9호선 총 53대 중 3대 전체 칸의 벽면 액자와 상단에 ‘베르메르부터 반 고흐까지, 네덜란드 거장들’ 展과 ‘색채의 건축가, 몬드리안’ 展의 이미지가 전시돼 마치 움직이는 미술관에 온 듯한 이색적인 분위기를 불러일으킨다.

빛의 시어터는 지하철 미술관과 더불어 야외에서도 전시 작품을 즐길 수 있는 무대를 선보인다. 빛의 시어터에서 공개된 클림트, 가우디, 고흐 등의 명화가 LED 디스플레이 무대 공간에 연출돼 11일과 12일, 단 이틀간 서울 광화문 광장 놀이마당에서 진행되는 오페라 ‘카발레리아 루스티카나’ 공연과 함께 선보인다. 빛의 시어터에서 진행된 전시 작품이 오페라 공연의 전체적인 분위기 및 음악과 함께 어우러져, 관객들에게 전시장 밖에서도 명화를 감상할 수 있는 특별한 경험을 선사한다.

서울 광진구 워커힐 호텔앤리조트에 위치한 빛의 시어터는 지난 5월 24일 개막한 전시 ‘베르메르부터 반 고흐까지, 네덜란드 거장들’을 진행 중이다. 요하네스 베르메르, 렘브란트 반 레인, 빈센트 반 고흐 등 네덜란드 출신 작가들의 작품을 빛과 음악, 디지털 기술을 통해 재해석한 몰입형 예술전시로 17세기 네덜란드를 여행하는 듯한 몽환적이고 이색적인 경험을 제공한다. 빛의 시어터는 새 전시 개막을 기념해 전시 유료 관람객을 대상으로, 이달 30일까지 매일 선착순 100명에게 빛의 시어터 로고가 새겨진 에코백을 증정한다.

박진우 티모넷 대표는 “빛의 시어터는 모두를 위한 예술을 의미하는 ‘아트 포 에브리원(Art for Everyone)’ 슬로건 아래, 보다 많은 사람들에게 문화예술 경험을 제공하고자 다양한 기회를 마련했다”며 “평범한 일상을 비범한 방식으로 표현한 네덜란드 거장들처럼, 평범한 일상 속에서 색다른 즐거움을 느낄 수 있는 순간을 경험해 보시길 바란다”고 말했다.

빛의 시어터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theatre_des_lumieres/
빛의 벙커 인스타그램 : https://www.instagram.com/bunkerdelumieres
빛의 라운지 인스타그램: https://www.instagram.com/lounge_de_coloris/

웹사이트: https://www.deslumieres.co.kr/theatre

[서울 : 빛의 시어터]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2024 부산모빌리티쇼
아디다스, 손흥민과 함께 국내 팬 대상 ‘널 믿어’ 캠페인 본격 전개
행사/이벤트 기사목록 보기
 
인기뉴스
제주특별자치도 별이 흐르는 “청수리”마을공동체 반딧..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아시아나항공, 문화예술 진흥 ..
2024년 인천국제해양포럼(Incheon Inter..
한국민속촌, 경기아트센터 경기국악원과 문화·관광 ..
법무법인 집현전 이효재 변호사 통합자세의학회 학회 ..
 
최신 인기뉴스
한화그룹, 미국 필리 조선소 인수… 국내 기업 최초..
서울시자살예방센터 ‘자살예방 정책 학술 심포지엄’ ..
한국여성재단 ‘디지털 아카이브 구축사업’ 킥오프 미..
 
회사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이메일수집거부 기사제보 독자투고 구독신청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편집인 : 백승판,  논설위원(대기자) : 이명기외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제주특별자치도 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 지국, 대전ㆍ충정ㆍ세종 지국, 전라도 지국

copyright(c)2024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