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단체ㆍ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경찰청] 경찰, 해외 기술유출 범죄 단속 강화 상반기 적발 건수 전년 대비 50% 증가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 입력 24-07-22 00:25

유용한 뉴스를 공유해보세요.


국가수사본부(안보수사국)에서는 “해외 기술유출 범죄 대응을 중심으로 업무 방향을 전환해 적극적으로 추진한 결과, 올해 상반기 해외 기술유출 검거 건수가 작년 같은 기간 대비 50% 증가하였다.”라고 밝혔다.
 
경찰청은 2023년 이후 해외 기술유출 범죄 척결에 집중하고, 관내 산업단지 등 각 지역 특성에 맞춰 수사팀별 전담 기술을 지정한 것은 물론, 검거실적뿐만 아니라 외근활동 실적도 함께 평가하는 등 수사팀의 외근활동을 지속하여 독려해왔다.
 
그 결과, 2023년 해외 기술유출 사건이 2022년 대비 83% 증가(12→22건)하였고, 올해 상반기에도 작년 같은 기간 대비 50% 증가(8→12건)하는 등 경찰에서 검거한 해외 유출사건 비중*이 지속 증가하였다.
 
* 그간 10%대에 머물던 해외 기술유출 사건 비중이 올해에는 25%대로 상승(’21년 10.1% → ’22년 11.5% → ’23년 14.7% → ’24. 1~6월 25.5%)
 
전체 사건 중 첩보 수집 등 인지 사건 비중도 34.8%(’21년) → 39.4%(’22년) → 43%(’23년) 등 증가추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전체 기술유출 사건을 적용 죄종별로 보면 부정경쟁방지법 사건이 33건(70.3%)으로 가장 많았고, 산업기술보호법 사건이 9건(19.1%), 형법(배임) 사건이 4건(8.5%) 등 순이다.
유출된 기술별로는 국내 유출은 ▵기계(8건, 23%) ▵정보통신(6건, 17%) 순이지만, 해외 유출은 ▵반도체(4건, 34%) ▵디스플레이(3건, 25%) 순으로 국내외 기술유출 간 피해 기술에 차이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유출수법의 경우 ▵전자 우편(13건, 29%) ▵유에스비(USB)(9건, 19%) ▵외장 하드(8건, 17%) ▵클라우드(5건, 11%) 순으로 전자 우편ㆍ유에스비(USB) 등 전형적 방법으로 기술을 반출하는 사례가 여전히 많았으며, 피해기업별로는 중소기업(38건, 80.9%)이, 유출 주체는 내부인(38건, 80.9%)이 많음을 알 수 있었다.
 

《 주요 검거사례 》
 
◦ (사례 1) 국내 주요 대학에 위장 연구소 형태의 자회사를 설립, 피해업체 기술 인력을 영입 후 전기차 배터리 기술 등 국가핵심기술을 부정 취득한 피의자들을 산업기술보호법 위반 혐의로 송치(1월, 서울청)
 
◦ (사례 2) 국내 반도체 업체에서 제품개발 업무를 담당하던 중 외국 경쟁업체로 이직 후 사용할 목적으로 반도체 공정 기술을 출력하는 등 유출한 피의자를 산업기술보호법 위반 혐의로 구속 송치(4월, 경기남부청)
 
기술유출 사건의 경우 피해액 산정이 어려워 범죄수익 보전이 쉽지 않으나, 올해 상반기에는 피의자가 국가핵심기술을 유출하고 받은 급여·체류비용 등을 특정하여 기소 전 추징보전 하는 등 기술유출 사건 2건에서 총 4.7억 원에 대한 범죄수익을 환수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안보수사국 관계자는 “기술유출 피해를 입었거나, 주변에서 의심 사례를 목격하였다면 국번 없이 ‘113’ 또는 경찰청 누리집(www.police.go.kr)에 개설된 ‘온라인 113 신고센터’로 신고하거나, 시도경찰청 산업기술보호수사팀을 방문하여 상담을 받아보기를 바란다.”라고 하였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경찰청] 제주에 "공상 경찰관 트라우마" 극복, 현장 복귀’돕는 경찰 교육기관 신설 추진
[경찰청] 다시 고개 드는 보이스피싱, 범행도구 차단부터 검거까지 총력 대응
경찰청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이재명 대선 후보, "환자 중심" 의료개혁 공약집 ..
속보) 이재명, 중증질환 지원·취향저격 공약 발표..
속보) 윤석열 전 대통령, 직무 정지 후에도 "비화..
경찰, SPC 사고 수사 본격화…고용노동부, 고위험..
속보) 검찰, 김건희 여사 "샤넬백" 실물 확보 난..
속보) 을지로 세운상가 인근 화재, 도심 빌딩숲 위..
김하성, ML 복귀 임박? 탬파베이 구단이 밝힌 일..
속보) TV토론 후 지지후보 바꿨다 3%, 큰 영향..
속보) 이재명 "여성가족부, 성평등가족부로 확대·..
속보) 윤여준, 윤상현 선대위원장 인선 "윤석열 ..
 
최신 인기뉴스
외모 자부심 김문수 후보 "설난영 여사의 발언"
이길여 가천대 총장, 93세에도 젊은 외모… 중화권..
필수 미네랄 '마그네슘', 부족하면 몸과 마음에 '..
냉면, 여름철 별미지만 열량·나트륨 주의해야
선덜랜드, 9년 만에 프리미어리그 복귀…셰필드 유나..
경찰공무원, 음주운전으로 파면 후 행정소송 승소…법..
중식에 곁들이는 양파 한 조각? 최화정의 '건강 한..
속보) 지귀연 부장판사, '접대 의혹' 사진 해명…..
정부, '소상공인 파산·회생 패스트트랙' 도입… ..
배우 장동건, 한남동 건물 투자로 174억 시세 차..
 
회사소개 광고안내 이용약관 개인보호취급방침 이메일수집거부 기사제보 구독신청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백소영, 부대표 : 이명기 논설위원 (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편집국장(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