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정부의 의대 증원 방침에 반발해 병원을 떠났던 전공의 중 860명이 추가 모집을 통해 수련을 재개한다. 이로써 의료 현장에서 수련 중인 전공의는 총 2532명으로 늘어났지만, 이는 전체 전공의의 20%에도 미치지 못하는 수치여서 의료 공백 정상화까지는 아직 갈 길이 먼 것으로 보인다.
보건복지부 수련환경평가위원회는 2일, "지난 5월 전국 수련병원이 자율적으로 진행한 추가 모집을 통해 총 860명의 전공의가 합격해 6월 1일자로 수련을 다시 시작했다"고 밝혔다. 이번에 복귀한 인원은 지난해 의료 사태 발생 이후 단일 모집으로는 가장 큰 규모다.
이번 추가 복귀 인원을 포함해 현재 병원에서 근무 중인 전공의는 총 2532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의정 갈등 사태 이전의 전체 전공의 규모인 1만 3531명의 약 18.7%에 해당하는 수준이다. 정부는 복귀를 유도하기 위해 행정처분 절차 중단과 함께 수련 기간 단축 등의 '특례'를 제시했지만, 이번 추가 모집 인원(1만 4456명) 대비 충원율은 5.9%에 그쳐 대다수의 전공의는 여전히 현장으로 돌아오지 않은 셈이다.
정부는 복귀하는 전공의들이 수련에 차질을 빚지 않도록 지원하겠다는 입장이다. 복귀 시점에 따라 내년 전문의 자격시험 응시 기회를 부여하고, 인턴의 경우 내년 3월 레지던트 과정으로 정상 승급할 수 있도록 수련 기간을 조정하는 방안 등을 마련했다.
그러나 의료계 안팎에서는 이번 복귀 규모가 의료 현장의 인력난을 해소하기에는 역부족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특히 '빅5'로 불리는 주요 상급종합병원의 복귀율은 여전히 저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의 유화책에도 불구하고 대다수 전공의가 복귀를 선택하지 않은 배경에는 의대 증원 원점 재검토 등 핵심 요구사항이 받아들여지지 않은 것에 대한 불신이 깊게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의료계와 정부의 근본적인 갈등이 해소되지 않는 한, 수련병원 정상화와 필수의료 붕괴 위기 극복은 당분간 어려운 과제로 남을 전망이다.
|
|
|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
|
|
|
|
|
|
|
|
|
|
 |
단독) 세종시, 대통령 제 2 집무실 임기내 완성 |
 |
속보) 9월 첫 거래일, 코스피 21.43p(0.6.. |
 |
단독) 통합자세의학회 ㆍ셀업유니온 업무협약체결 |
 |
속보) 검찰, '사법농단' 양승태 항소심도 징역 7.. |
 |
尹, 수감 49일간 영치금 2억 8천만원…73차례 .. |
 |
윤석열 전 대통령, 7차례 재판 불출석…법원, 피고.. |
 |
100일 대장정 정기국회 개막…'개혁 입법' vs .. |
 |
속보) 경부선 KTX 탈선 참사, 경찰 코레일 본사.. |
 |
속보) 국정원 "尹, '서해 피격' 박지원·서훈 .. |
 |
속보) 8월 수출, 반도체 ‘역대 최대’ 실적, 1.. |
|
|
|
|
|
|
|
|
|
|
|
|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