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카카오톡 메시지 삭제, 최장 24시간으로 확대…익명성 강화"

강동석 기자 | 입력 25-08-13 10:35



국민 메신저 카카오톡의 메시지 삭제 기능이 대폭 개편되어, 전송 후 5분 이내로 제한되었던 삭제 가능 시간이 최장 24시간 이내로 늘어난다. 또한, 삭제된 메시지의 표기 방식이 변경되어 1대1 대화방을 제외하고는 누가 메시지를 삭제했는지 특정할 수 없게 된다. 이번 업데이트는 지난 2018년 해당 기능이 처음 도입된 이래 약 7년 만의 대규모 변화로, 이용자들의 대화 환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12일 카카오에 따르면, 이번 카카오톡 메시지 삭제 기능 개편은 발송 실수를 보완하고 이용자들의 대화 부담감을 낮추며 더욱 원활한 소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추진되었다. 기존에는 메시지 전송 후 5분 이내에만 상대방이 읽었는지 여부와 관계없이 메시지를 삭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이번 업데이트를 통해 사용자들은 이제 메시지를 보낸 후 24시간 이내라면 언제든지 삭제할 수 있게 되었다. 이는 실수로 보낸 메시지나 뒤늦게 삭제를 원하는 메시지에 대한 대응 시간을 대폭 확대한 것이다.

특히 눈에 띄는 변화는 삭제된 메시지의 표기 방식이다. 기존에는 삭제된 메시지 자리에 '삭제된 메시지입니다'라는 말풍선이 남아 있었지만, 이제는 피드 표기 방식으로 변경된다. 이에 따라 1대1 대화방이 아닌, 여러 명이 참여하는 단체 대화방에서는 특정 메시지가 삭제되었다는 사실만 알 수 있을 뿐, 어떤 사용자가 해당 메시지를 삭제했는지는 더 이상 파악할 수 없게 된다. 이러한 익명성 강화 조치는 발송자의 부담을 줄여주는 동시에, 사적인 대화의 프라이버시를 더욱 보호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이번 업데이트는 카카오톡 버전 25.7.0부터 순차적으로 적용될 예정이며, 사용자들의 기기와 운영체제(OS)에 따라 적용 시기는 다를 수 있다.

카카오 관계자는 이번 개편에 대해 "대화의 부담감을 낮추고 원활한 소통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메시지 삭제 기능을 대폭 개선했다"고 설명하며, 사용자 경험 향상에 초점을 맞췄음을 강조했다. 일각에서는 이번 변화가 불필요한 논쟁을 줄이고 이용자 편의를 증진시킬 것이라는 긍정적인 평가가 나오는 반면, 특정 메시지 삭제의 주체를 알 수 없게 되어 오히려 혼란을 초래하거나 악용될 소지가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될 수 있다.

하지만 카카오가 사용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여 메시지 삭제 기능을 전향적으로 개선한 만큼, 향후 실제 사용 환경에서 어떤 영향을 미칠지 관심이 집중된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오픈AI·SK·삼성, HBM 초협력…연 100조 원 공급 계약 체결
7월 취업자 10만 명대 증가 지속…건설·제조업 고용 부진 심화 '빨간불'"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학교 수업만으로 ..
건강칼럼2) 안면 비대칭과 턱관절·피부 윤곽의 상..
새만금에 첫 철도 '새만금항 인입철도' 건설사업 본..
김건희 특검, 압수수색 영장에 '통일교 동원' 당대..
건강칼럼1) 골반 다이어트 "비움과 정렬"
민주당, '검사 파면 가능' 법 추진...
..
박수홍 친형 부부, 61억 횡령 혐의 결심 공판서 ..
월드시리즈 우승 김혜성 선수 '빚투' 논란... 부..
박홍근 의원, '소싸움 전면 금지' 결의안 발의....
서울시 아마추어 축구대회 '경기 중 폭행' 가해 선..
 
최신 인기뉴스
단독) 파이온텍 2026-2027년 주식상장 Pla..
단독) 파이온텍 골반다이어트 K-뷰티 디렉터 혁신제..
단독) 파이온텍 K-뷰티 디렉터 탈모 과학 "이오와..
연세대 600명 대형 강의서 집단 부정행위…AI 활..
코스피, 상승 출발하며 4000선 회복…AI 기술주..
속보) 법원, 이커머스 플랫폼 위메프에 파산 선고 ..
건강칼럼1) 골반 다이어트 "비움과 정렬"
속보) 한동훈, “악의적 허위사실 유포” 정성호 법..
임은정 서울동부지검장, 대장동 항소 포기 집단 성명..
34살 무슬림 시장 조란 맘다니, 미국 민주주의의 ..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