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후 첫 일본 방문을 앞두고, 과거 정부에서 이뤄진 위안부 합의와 강제징용 배상 문제에 대해 "국가 간의 약속이므로 뒤집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입장을 밝혔다. 야당 시절 해당 합의들을 강하게 비판했던 기조와는 다른, 국익과 실용을 앞세운 대일 외교 노선을 공식화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 대통령은 21일 보도된 일본 요미우리신문과의 단독 인터뷰에서 "한국 국민으로서는 매우 받아들이기 어려운 이전 정권의 합의"라고 전제하면서도, "정책의 일관성과 국가의 대외 신뢰를 생각하는 한편, 국민과 피해자·유족의 입장도 진지하게 생각하는 두 가지 책임을 동시에 지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는 박근혜 정부 시절의 '2015년 한일 위안부 합의'와 윤석열 정부에서 추진한 '제3자 변제' 방식의 강제징용 해법을 현 정부에서도 승계하겠다는 뜻을 명확히 한 것이다.
이 대통령은 오는 23일부터 이틀간의 일정으로 일본을 방문해 이시바 시게루 총리와 첫 정상회담을 갖는다. 취임 후 미국보다 일본을 먼저 방문하는 파격적인 외교 일정으로, 경색된 한일 관계를 개선하고 실질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하려는 강한 의지가 반영된 행보다.
인터뷰에서 이 대통령은 일본을 "매우 중요한 존재"라고 평가하며 "한국도 일본에 유익한 존재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양측에 이익이 되는 길을 발굴해 협력할 수 있는 분야를 넓혀 가야 한다"며 경제, 안보, 인적 교류 등 폭넓은 분야에서의 협력을 다짐했다.
이번 정상회담에서 이 대통령은 1998년 '김대중-오부치 공동선언'을 뛰어넘는 새로운 미래 비전이 담긴 공동선언 발표에 대한 기대를 내비치는 등 미래지향적 한일관계 구축에 적극적으로 나설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