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단비' 비껴간 강릉, 오봉저수지 13% 붕괴…오늘 124곳 제한급수 시작

이수민 기자 | 입력 25-09-06 22:45




전국 곳곳에 단비가 내린 6일, 극심한 가뭄을 겪고 있는 강원도 강릉 지역은 1mm 미만의 강수량을 기록하며 사실상 비의 영향권에서 완전히 비껴갔다. 주 취수원인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이 결국 13%선 마저 붕괴되자, 강릉시는 이날 오전 9시를 기해 아파트 단지와 대형 숙박 시설 등 124개소에 대한 제한 급수 조치를 단행했다. 이는 1994년 이후 31년 만에 시행되는 비상 급수 대책으로, 시민들은 물 절약에 동참하며 일상 속 혼란과 불편을 감내하고 있다.

제한 급수가 시작된 6일 오전, 강릉 도심의 한 아파트에서는 시청 공무원들이 지하 상수도 밸브를 일부 차단하는 조치를 시행했다. 이번 조치는 완전 단수(斷水)가 아닌, 각 아파트 단지 등이 보유한 저수조 용량에 의존해 물 사용을 통제하는 방식이다. 강릉시는 저수조의 물이 일정 수준 이하로 떨어지면 급수차 등을 동원해 물을 다시 채워 넣을 방침이나, 공급량이 제한되는 만큼 주민들은 즉각적인 물 아끼기에 돌입했다.

주민들은 설거짓거리를 한 번에 모아서 처리하고, 국이나 찌개를 끓이는 것을 자제하는 등 생활 용수를 극한으로 줄이는 모습이었다. 한 번 입은 옷은 바로 세탁하는 대신 햇볕에 말려 다시 입겠다는 시민들도 많았다. 조영경 강릉시민은 "일단 설거지를 모아놨다 하고 국을 안 끓여 먹으려 한다"고 말했으며, 최호연 씨는 "조금이라도 아끼면 아기를 키우는 집 등 꼭 필요한 곳에 물이 갈 수 있을 것"이라며 절약에 동참했다. 강릉시는 1인당 2리터 생수 6개씩을 지급하며 시민들의 불편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러나 제한 급수 첫날 현장에서는 일부 혼란도 발생했다. 강릉시는 당초 아파트 저수조의 저수율이 20% 미만으로 떨어지면 물을 보충 공급하겠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일부 아파트의 관리사무소는 저수조 구조상 수위가 35% 미만으로 내려갈 경우 펌프에 공기(에어)가 차 모터가 고장 나거나 세대 전체에 물 공급이 중단되는 심각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고 반발했다. 한 아파트의 이영섭 관리소장은 "20% 때 채워 넣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며 "저수조 하부로 내려가면 공기가 차 작업이 복잡해지고 세대 공급도 안 된다"고 현장 상황을 지적했다.

현장의 반발이 이어지자 강릉시는 뒤늦게 "아파트별 저수조 구조와 상황에 맞게 탄력적으로 물을 공급하겠다"고 한발 물러섰다. 하지만 가뭄 위기 극복을 위한 비상 대책이 현장 상황을 면밀히 고려하지 못한 채 시행됐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강릉시의 생명줄인 오봉저수지의 저수율은 계속 하락하며 13%선마저 무너져, 사태 해결을 위한 근본적인 대책은 여전히 요원한 상황이다. 강릉시는 만약 저수율이 10% 아래로 떨어질 경우, 오후 10시부터 다음 날 오전 5시까지 물 공급을 완전히 차단하는 '야간 단수' 조치까지 시행할 방침이어서 시민들의 불안감은 더욱 커지고 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LG엔솔 "조지아 구금 관련 인력 250여명"…
미국 출장 전면 중단
조지아 韓국민 300명 구금 사태…
조현 장관 "필요시 워싱턴 직접 가겠다"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LG엔솔 "조지아 구금 관련 인력 250여명"…
'단비' 비껴간 강릉, 오봉저수지 13% 붕괴…오늘..
조지아 韓국민 300명 구금 사태…
조현 장..
속보) 북한, 호우 앞두고 황강댐 기습 방류…임진강..
국제유가 상승세 전환… 4주 연속 하락한 국내 기름..
찜통더위 속 전국 국지성 호우…주말 계곡·하천 안..
'조지아 공장' 구금 韓국민 30명 석방… 협력업..
이재명 대통령, 8일 여야 대표 회동…
장동..
단독) 특검, '해군함정 선상파티' 의혹
..
속보) 한덕수 전 총리, 9일 특검 출석… 인사청탁..
 
최신 인기뉴스
'조지아 공장' 구금 韓국민 30명 석방… 협력업..
판교 대낮 '묻지마 폭행'…50대 남성, 노인 등 ..
조국혁신당, 성 비위 논란에 '내홍'… 조국 "미진..
속보) 리스본의 비극, 관광 명물 전차 탈선으로 최..
검찰개혁 공청회, "초선은 가만히 있어!" 나경원 ..
최강욱 2차 가해" 발언 파문, 정청래 리더십 시험..
경찰 순경 공채 개편 논란…경찰청 "여성에게 유리하..
속보) 정부, 일본 사도광산 추도식 2년 연속 불참..
서빙고역 인근 선로에서 여성 열차에 치여 사망
속보) 코스피, 강보합 출발 속 3190선 눈앞…코..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