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통령이 취임 100일을 맞아 "모두의 대통령이 되어 통합의 정치를 이루겠다"는 포부를 밝히며, 국익을 최우선으로 하는 실용 외교 노선과 부동산 문제, 검찰 개혁 등 핵심 국내 정책에 대한 확고한 추진 의지를 천명했다. 이 대통령은 11일 열린 기자회견에서 외교·안보 현안부터 민생 경제, 정치 개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국정 현안에 대한 입장을 가감 없이 설명하며 향후 국정 운영의 방향을 제시했다.
이 대통령은 외교 분야에서 원칙에 기반한 국익 중심의 실용 노선을 분명히 했다. 미국 조지아주에 구금됐던 우리 국민들의 귀국 일정이 트럼프 대통령의 지시로 일시 지연됐던 사실을 직접 언급하며, "미국에 투자하는 우리 기업들의 어려움이 많다"면서 비자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약속했다. 그는 "미국인들도 여행 비자로 한국에 들어와 영어 강사를 하기도 한다"고 언급하며 상호주의적 관점에서의 문제 해결 필요성을 시사했다. 또한 최근 논란이 된 한미 관세 협상과 관련해서는 "우리에게 이익이 되지 않으면 서명하지 않을 것"이라고 못 박아, 국익을 해치는 일방적인 양보는 없다는 단호한 입장을 보였다.
대북 및 대일 관계에 대해서도 입장을 밝혔다. 이 대통령은 "북한의 태도와 상관없이 남북 긴장 완화는 우리 경제와 민생에 도움이 된다"며 한반도 평화를 위한 지속적인 노력을 다짐했다. 한일 간 갈등 현안인 사도광산 문제에 대해서는 "한일 간 합의가 어려웠다"고 토로하며 이번에는 관련 지역을 방문하지 않기로 결정했음을 알렸다.
국내 현안에 대해서는 개혁의 고삐를 늦추지 않겠다는 의지를 드러냈다. 가장 시급한 민생 문제인 부동산에 대해 "앞으로 수요를 통제하는 대책을 계속해서 내놓을 것"이라며 강력한 시장 안정화 정책을 예고했다. 투자자들의 관심이 쏠렸던 주식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에 대해서는 "굳이 10억 원으로 낮출 필요는 없다는 생각"이라고 밝혀, 시장의 불확실성을 일부 해소했다.
가장 민감한 현안인 검찰 개혁에 대해서는 신중하면서도 근본적인 변화가 필요하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이 대통령은 "검찰 개혁은 일시적인 것이 아닌 근본적인 사회 시스템의 변화"라고 규정하며 "냉철하고 치밀한 장치가 필요하므로 정부와 전문가가 중심이 되어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치권 현안에 대해서는 '협치'와 '경쟁'의 조화를 주문했다. 그는 "협치는 야합과 다르다"고 선을 그으며 "야당의 '타당한' 요구를 들어주는 것이 협치"라는 소신을 밝혔다. 여야가 상식에 부합하는 결론을 내는 합리적인 경쟁을 해줄 것을 당부하는 한편, "다시는 대한민국에서 내란 쿠데타가 일어나서는 안 된다"고 강조하며 국가의 근간을 흔드는 행위에 대한 무관용 원칙을 분명히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