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훈련장의 안전 관리에 심각한 허점이 드러났다. 불과 하루 사이에 공군과 육군 부대에서 훈련용 폭발물이 터지면서 장병과 예비군 등 총 17명이 다치는 사고가 연이어 발생했다. 비교적 안전하다고 여겨지는 비사격 훈련이나 연습용 장비를 다루는 과정에서 일어난 사고라는 점에서, 군의 전반적인 안전불감증에 대한 비판과 함께 철저한 원인 규명과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10일 오전 11시 반경,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에 있는 한 공군부대에서 훈련용 지뢰에 사용되는 연습용 뇌관이 폭발하는 사고가 발생했다. 이 사고로 당시 예비군 훈련에 참여하고 있던 예비군 6명과 현역 교관 1명 등 총 7명이 부상을 입었다. 부상자들은 폭발 충격으로 인한 이명 증상과 파편으로 인한 찰과상 등을 입고 즉시 인근 병원으로 옮겨져 치료를 받았다. 공군은 길이 6센티미터, 직경 6.5밀리미터 크기의 소형 연습용 뇌관이 터진 것으로 파악하고, 상급 부대 감찰 조직을 투입해 정확한 사고 경위를 조사 중이다.
공군부대 사고의 충격이 가시기도 전인 같은 날 오후, 경기도 파주시에 위치한 육군 포병부대에서도 유사한 사고가 이어졌다. 포탄 사격 없이 발사 절차만 숙달하는 비사격 훈련 도중, 포탄의 발사음과 연기를 모사하기 위해 사용하는 모의탄이 갑자기 폭발한 것이다. 이 사고로 현장에 있던 장병 10명이 중상과 경상을 입고 군 병원 등으로 긴급 후송됐다. 군 당국은 훈련에 사용된 모의탄의 결함 가능성과 훈련 과정에서의 안전 수칙 준수 여부 등을 다각도로 살펴보며 사고 원인을 파악하고 있다.
하루 간격으로 육군과 공군 양쪽에서 인명 피해를 동반한 폭발 사고가 발생하자 군 기강 해이와 안전 시스템 부재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특히 두 사고 모두 실탄이 아닌 훈련용 장비에서 비롯됐다는 점에서 군의 안전 점검 및 장비 관리 체계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는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된다. 군은 각 군별로 정밀 조사를 진행해 사고 원인을 명확히 규명하고,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전체 훈련 과정과 장비에 대한 긴급 안전 진단을 실시해야 한다는 압박에 직면하게 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