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 초유의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마비된 정부 행정정보시스템의 복구율이 여전히 17.8%에 머무는 가운데, 정부가 이번 추석 연휴를 복구 작업의 '골든타임'으로 삼고 총력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국민 이동이 많은 연휴 기간 행정 서비스 공백을 최소화하고 복구 속도를 최대로 끌어올리겠다는 구상이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추석 연휴 첫날인 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 9차 회의를 주재하고 "이번 7일간의 연휴를 정부 시스템 복구의 골든타임으로 삼아 비상한 각오로 복구 속도를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윤 장관은 "많은 국민께서 고향으로 이동해 가족과 함께하는 중요한 시기인 만큼, 정부는 연휴 동안 행정서비스와 안전 관리에 공백이 없도록 철저히 대응하겠다"며 이같이 말했다.
현재 화재 현장인 국정자원 대전 본원에는 약 800여 명의 공무원과 민간 전문인력이 투입되어 24시간 복구 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정부는 여기에 더해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등 연구기관 인력까지 참여시켜 복구 역량을 극대화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정부는 신속한 복구를 위해 예비비 투입 절차에도 본격적으로 착수했다. 윤 장관은 "전반적인 복구 작업과 화재 피해가 가장 컸던 7-1 전산실 시스템의 대구 센터 이전을 위해 대통령실, 재정당국과 논의를 시작했다"며 "적극적인 예비비 투입을 통해 복구 속도를 최대한으로 끌어올릴 예정"이라고 밝혔다.
정부는 복구 작업의 원활한 진행과 현장 점검을 위해 추석 당일을 제외한 연휴 기간 내내 중대본 회의를 개최하며 비상 대응 체계를 유지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이번 사태를 계기로 국가 주요 시스템 및 운영 시설의 안정성을 전면 재점검하고, 데이터 이중화(백업) 시스템 미비 등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개선책을 병행하겠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복구 작업이 더디게 진행되면서 국민 불편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화재로 직접적인 피해를 입은 시스템 외에도 분진 오염으로 인한 서버 세척과 재설치, 시스템 간 연동 문제 해결 등 넘어야 할 산이 많아 전체 시스템이 정상화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이 소요될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