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에 따른 행정망 마비 사태 닷새째인 30일, 정부가 가장 중요한 '1등급 시스템'의 복구율이 55%를 넘어섰다고 발표했다. 또한,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기 위해 이번 사태로 중단된 647개 전체 시스템의 목록과 현황을 오늘 중으로 투명하게 공개하겠다고 약속했다.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오늘 오전 6시 기준, 국민 생활과 직결된 1등급 시스템 36개 중 20개가 복구돼 55.6%가 정상화됐다"고 밝혔다. 전체 시스템 기준으로는 오전 8시 현재 조달청 하도급지킴이 등이 추가로 복구되면서, 총 647개 중 85개 시스템의 가동이 재개된 상태다.
윤 장관은 "서비스가 중단된 647개 시스템의 전체 목록을 오늘 중으로 국민께 공개하고, 각 시스템의 복구 상황도 투명하게 알려드리겠다"고 강조했다. 이는 초반 복구 상황에 대한 정보 제공이 미흡했다는 비판을 수용한 조치로 풀이된다. 정부는 완전 정상화까지 민원 현장 접수, 납부 기한 연장 등 모든 수단을 동원해 국민 불편을 최소화하겠다는 입장도 재확인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는 행정 시스템 장애를 틈탄 금융 사기 범죄에 대한 대응 방안도 논의됐다. 정부는 시스템 복구를 사칭하는 등의 보이스피싱이나 스미싱 범죄가 발생할 수 있다고 보고, 경찰청 및 금융당국과 협력해 범죄 차단과 피해 예방 활동을 강화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