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순직 해병'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을 규명하고 있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심우정 전 검찰총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소환했다. 심 전 총장은 '해병대원 순직 사건'의 핵심 피의자인 이종섭 전 국방부 장관이 주호주대사로 임명돼 출국하는 과정에 관여했다는, 이른바 '범인 도피' 의혹의 중심에 있는 인물이다.
심 전 총장은 30일 오전 서울 서초구에 마련된 특검 사무실에 출석했다. 그는 '이종섭 전 장관의 출국금지 해제에 외압을 행사했나', '대통령실과 교감이 있었나' 등 취재진의 질문에 아무런 답변을 하지 않고 곧장 조사실로 향했다.
특검팀은 심 전 총장을 상대로 이 전 장관의 출국금지가 이례적으로 신속하게 해제된 배경을 집중적으로 추궁할 방침이다. 심 전 총장은 당시 법무부 차관으로서 출국금지 심의위원회에 당연직으로 참여했으며, 이 전 장관의 출국을 최종 승인하는 과정에서 핵심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지목됐다.
이 전 장관은 '순직 해병' 사건 수사에 외압을 행사한 혐의로 공수처에 입건돼 출국금지 상태였으나, 주호주대사로 임명된 직후 법무부에 의해 출국금지가 해제돼 '도피성 출국'이라는 거센 비판을 받았다. 특검은 이 과정에서 대통령실 등 윗선의 부당한 지시나 압력이 있었는지를 규명하는 데 수사력을 모으고 있다.
특검은 지난달 심 전 총장의 휴대전화 등을 압수수색하며 관련 증거를 확보해왔다. 법조계에서는 검찰 고위직 출신인 심 전 총장에 대한 조사가 이번 의혹의 실체를 밝히는 데 중대한 분수령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