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코스피, 사상 최고치 경신…3,748 마감 ‘4,000 시대’ 기대감 확산

강호식 기자 | 입력 25-10-16 23:47



국내 증시가 연이틀 급등하며 사상 최고치를 다시 썼다. 외국인과 기관의 매수세가 이어지고, 반도체·자동차 등 주도 업종이 강세를 보이면서 코스피는 3,750선에 근접했다. 시장 안팎에서는 “코스피 4,000도 머지않았다”는 기대감이 확산되고 있다.

16일 코스피는 전 거래일보다 91.25포인트(2.49%) 오른 3,748.06에 거래를 마쳤다. 전날 세운 사상 최고치(3,657.14)를 불과 하루 만에 경신한 것이다. 코스피가 3,700선을 돌파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날 외국인 투자자는 6,000억 원 이상, 기관은 8,000억 원 가까이 순매수하며 상승장을 이끌었다. 반면 개인 투자자는 1조 3,000억 원가량을 순매도했다. 증시 전문가들은 “최근 급등세에 따른 차익 실현 매물이 개인 투자자 중심으로 나왔다”고 분석했다.

이달 들어서만 코스피는 290포인트 이상 상승했다. 2020년대 이후 찾아보기 어려운 가파른 상승세다. 코스피 4,000선까지는 약 250포인트 차이로, 일부 증권사에서는 연내 돌파 가능성도 거론되고 있다.

상승세를 견인한 주요 요인으로는 한·미 간 관세 협상 낙관론과 반도체 업황 회복 기대가 꼽힌다. 미국이 전면적인 보호무역 기조를 완화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오면서 수출주가 강세를 보였다. 현대차는 8.2%, 기아는 7.2% 상승하며 자동차 업종이 장을 주도했다.

반도체주도 랠리를 이어갔다. 삼성전자는 이날 9만 7,700원에 마감하며 2021년 1월 11일 기록한 9만 6,800원의 종가를 4년 9개월 만에 뛰어넘었다. 시가총액은 580조 원을 돌파했다. SK하이닉스도 7% 이상 급등하며 19만 원 선을 회복했다.

증권가는 추가 상승 여력이 충분하다는 분석을 내놓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연내 유동성 공급 확대, 이른바 ‘돈 풀기’ 정책을 재개할 가능성이 거론되고 있고, 국내에서는 정부의 배당소득세 인하 등 세제 완화책이 추진될 수 있다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다만 일부 전문가들은 “단기 급등세에 따른 과열 우려도 병존한다”며 “4,000선 돌파를 위해서는 기업 실적이 뒷받침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 증권사 관계자는 “정치적 불확실성과 글로벌 유동성 흐름이 코스피 4,000 돌파의 변수로 작용할 수 있다”면서도 “반도체·자동차·2차전지 업종의 실적이 지속된다면 한국 증시의 체질적 상승 국면이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끊이지 않는 자생한방병원 특혜 의혹…‘윤석열 친분’에 약침시장까지 번지나
캄보디아 범죄단지 ‘웬치’ 직접 다녀온 연루자 “죽은 사람 100명 넘는다…소각장에 태워” 충격 증언
금융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이재명 대통령, 아세안 정상회의 참석차 말레이시아 ..
일요일 전국 흐리다 오후 갬...수도권·충남 낮 ..
트럼프 "한국만 준비되면 관세협상 타결"...정부 ..
"서울 집값 잡겠다"던 10·15 대책, 정작 충..
경찰 고위직 51명 대규모 인사...서울청 수사 지..
이화영 "김성태 생일, 여성들이 검찰청에 케이크 반..
어린이 '키 크는 주사'의 위험한 유행...3040..
"갭투자" 잡은 10·15 대책, 서울 전세 매물..
'채해병 수사외압' 5인방 영장 기각...특검, 윤..
9월 이례적 늦더위 여파...설악산 단풍, 평년보다..
 
최신 인기뉴스
속보)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2.50%로 3연속 ..
"서울 집값 잡겠다"던 10·15 대책, 정작 충..
단독) 통합자세의학회, 한국미디어일보 의료학술단체 ..
통합자세의학회·㈜파이온텍 학술 바이오 연구 협력 ..
단독) 홍익대 2025 홍익패션위크 Fashion ..
국정원 "캄보디아 대학생 살해 주범, '대치동 마약..
속보) 코스피, 47.89포인트(1.23%) 내린 ..
이재명 대통령, 사정기관 정면 겨냥..."법치 파괴..
비트코인 1억 6천만 원대 횡보 속 '금 추월' 기..
"신고 안 해도 현장조사"...정부, 잇단 해킹에 ..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