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방울 그룹 불법 대북송금" 사건의 핵심 증인인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가 검찰 수사 과정에서 벌어진 심각한 규율 문란 행위에 대해 또다시 폭로했다. 이 전 부지사는 25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서울고등검찰청 등 대상 국정감사에 증인으로 출석해, "김성태 전 회장의 생일에는 여자분들이 축하 케이크와 함께 음식을 갖고 왔다"고 증언했다. 이는 앞서 제기된 "술자리 회유" 의혹에 더해, 검찰청사가 사실상 쌍방울 측의 편의 제공 장소로 이용됐다는 구체적인 정황이어서 파장이 커지고 있다.
이 전 부지사는 이날 더불어민주당 김기표 의원의 질의에 답하는 과정에서, 김성태 전 회장이 검찰에 출정할 때마다 쌍방울 임직원들이 청사 내에 상주하며 "수발"을 들었다고 밝혔다. 그는 "김성태가 검찰에 가면 쌍방울 임직원 2~3인, 많게는 7명까지도 항상 나와 수발을 들었다"고 말했다. 이들은 당시 담당 검사였던 박상용 검사의 1313호실 앞에 위치한 "창고" 공간에 미리 각종 다과를 준비해두고 "우리 같이 먹고 얘기하자"고 하는 등, 사실상 검찰청사 내에서 자유롭게 대기하며 음식물을 취식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번 증언은 논란이 됐던 "외부 음식 반입"의 비용 주체를 명확히 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당초 담당 검찰은 외부 음식 반입 사실 자체를 부인했으나, 논란이 커지자 "검찰의 돈으로" 음식을 제공한 사실이 있다고 일부 인정한 바 있다. 그러나 이 전 부지사는 "김성태가 돈을 내 들어온 음식이 있었다는 건 확실하다"고 정면 반박했다. 그는 쌍방울 직원 박 모 씨가 자신에게 "오늘은 김밥을 사 왔다", "떡 사 왔다, 많이 드셔라"고 자랑까지 했다고 부연하며, 음식 제공의 주체가 검찰이 아닌 쌍방울 측이었음을 분명히 했다.
이 전 부지사의 잇따른 폭로로 검찰청사의 피의자 관리 및 출입 통제 시스템에 심각한 허점이 뚫렸다는 비판이 거세지고 있다. 다만 이 전 부지사는 쌍방울 임직원들이 구체적으로 어떤 절차와 허가를 통해 검사실 앞 창고까지 자유롭게 드나들며 음식을 준비할 수 있었는지, 그 경위에 대해서는 "잘 모르겠다"고 답했다. 수사의 공정성과 보안이 생명인 검찰청사 내부에서 피의자에 대한 특혜성 편의 제공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졌다는 의혹이 국정감사장을 통해 제기되면서, 검찰의 부실한 피의자 관리 실태에 대한 감찰과 조사가 불가피해질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