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민희 국회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장을 둘러싼 논란이 확산하고 있다. 최 위원장이 MBC의 특정 보도를 문제 삼아 비공개 업무 보고 자리에 참석한 보도본부장을 퇴장시킨 사실이 알려지자, MBC 내부 구성원들은 물론 한국기자협회까지 공식 성명을 내고 "명백한 언론 독립 침해 행위"라며 강하게 비판하고 나섰다. 언론 관련 상임위 수장의 이례적인 조치를 두고 언론의 자유와 국회의 권한 행사를 둘러싼 파장이 거세다.
이번 사태는 국회 과방위의 MBC 업무 보고 과정에서 발생했다. 최민희 위원장은 이 자리에서 지난 19일 MBC가 보도한 과방위 국정감사 관련 기사 내용을 거론하며 문제를 제기했다. 최 위원장은 해당 보도에 대한 해명을 요구했고, 이 과정에서 MBC 보도본부장을 향해 퇴장을 명령한 것으로 확인됐다. 이 자리는 국회의 공식적인 업무 보고 자리였으나 공개된 국정감사 질의 현장이 아닌 비공개로 진행 중이었다는 점에서 사안의 심각성이 더해진다.
즉각적인 반발은 MBC 내부에서 먼저 터져 나왔다. MBC 기자회와 전국언론노동조합 MBC 본부는 어제(21일) 공동 성명을 발표했다. 이들은 성명에서 "국회 상임위원장이 자신의 입맛에 맞지 않는 보도를 했다는 이유로 언론사 임원을 업무 보고 자리에서 퇴장시킨 것은 국회의 권한을 넘어선 명백한 언론 탄압"이라고 규정했다. 또한 "언론을 감시하고 견제해야 할 국회의원이 오히려 언론을 길들이려 하는 시도"라며 최 위원장의 행위를 강도 높게 비판했다.
논란은 언론계 전반으로 확대됐다. 한국기자협회는 오늘(22일) 공식 성명을 통해 최 위원장의 공식적인 사과를 요구했다. 기자협회는 "최 위원장이 보도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했다면, 정식적인 이의 제기나 언론중재위원회 제소 등 합법적이고 공개적인 절차를 밟았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비공개 업무 보고 자리에서 보도 책임자에게 압박성 발언을 하고 퇴장시킨 것은 언론의 독립을 침해하는 행위"라고 명시했다. 특히 방송 정책을 총괄하는 과방위원장의 처사라고는 도저히 믿기 어려운 일이며, 언론에 대한 최소한의 존중조차 찾아볼 수 없는 태도라고 질타했다.
언론계가 이번 사안을 심각하게 받아들이는 이유는 단순한 해프닝이 아니라, 입법 기관이 가진 권한을 이용해 언론사의 보도 내용에 직접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려 한 "권력 남용"의 소지가 다분하기 때문이다. 비판적인 보도에 대해 상임위원장이 공개적인 절차가 아닌 방식으로 압력을 행사하는 선례가 될 수 있다는 우려다. 공영방송의 독립성과 자율성을 수호해야 할 책무가 있는 과방위원장이 오히려 이를 훼손했다는 비판이 거세지면서, 최 위원장의 향후 대응에 귀추가 주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