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정부 시절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국무위원들과 세 차례 만찬 간담회를 진행하며 총 1천557만 원의 업무추진비를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 물가 상승과 고금리로 민생 부담이 커진 상황에서 1인당 최대 49만 원에 달하는 고급 케이터링 만찬을 진행한 사실이 드러나 논란이 일고 있다.
더불어민주당 김승원 의원실이 13일 국무조정실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한 전 총리는 2023년 12월 12일·15일·18일 세 차례에 걸쳐 서울 종로구 삼청동 총리 공관에서 국무위원 만찬 간담회를 열었다. 이 과정에서 사용된 업무추진비는 1차 489만 원, 2차 574만 원, 3차 494만 원으로 모두 1천557만 원에 달했다.
1차 만찬에는 기획재정부·통일부·국방부 장관 등 18명이, 2차 만찬에는 교육부·외교부·행정안전부 등 22명이, 3차 만찬에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산업통상자원부·고용노동부 등 10명이 참석한 것으로 나타났다. 참석자 1인당 비용은 최소 26만 원에서 최대 49만 원 수준으로, 모두 서울의 한 5성급 호텔 케이터링 서비스를 이용했다.
현행 규정상 국무총리는 50만 원 이상을 지출할 경우 사용처, 참석자 소속과 성명을 증빙 서류에 기재해야 하지만, 1회 사용 한도는 따로 정해져 있지 않다. 다만 한 전 총리의 지출 규모는 이전 정부 총리들과 비교해도 높은 수준으로 평가된다.
정세균 전 총리는 2020년 7월 외교부 장관 공관에서 국무위원 21명과 만찬을 진행하며 135만 원을 사용했으며, 이낙연 전 총리는 2019년 신임 및 퇴임 국무위원 만찬에서 각각 26만 원, 41만 원, 29만 원을 지출했다. 김부겸 전 총리의 경우 2021년 9월 만찬에서 약 9만 원을 사용했다.
김승원 의원은 “한덕수 전 총리가 물가와 금리 부담으로 고통받는 민생을 강조했지만, 실제로는 고급 호텔 케이터링 만찬을 즐긴 사실이 드러났다”며 “윤석열 정부의 민생 행보가 얼마나 공허했는지를 보여주는 사례”라고 비판했다.
한편 국무조정실은 관련 자료를 제출하며 “공식 회의 성격의 만찬으로, 국정 운영에 필요한 소통의 일환이었다”고 해명했지만, 고급 식사 논란은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