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건강칼럼3) 탈모와 모상건막 상호 process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 입력 25-11-14 19:03



탈모는 정상적으로 모발이 존재해야 할 부위에서 모발이 과도하게 빠지거나 성장 주기가 약화될 때 나타나는 현상으로, 하루 100개 이상의 모발 소실이 지속될 경우 진단적 검토가 필요하다. 최근 의학계에서는 탈모를 단순한 모낭 기능 저하로만 보지 않고, 두피 깊숙한 구조물인 모상건막(aponeurosis)과의 상호 과정(process)에 주목하고 있다. 모상건막은 전두근과 후두근을 연결하며 두개골 상부를 덮고 있는 치밀한 섬유조직층으로, 두피의 긴장도와 혈류 조절에 핵심적 역할을 한다.


모상건막은 두피를 넓게 덮는 구조적 장치로서 두피의 탄력과 형태를 유지하는 데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그러나 스트레스, 근육 불균형, 반복적인 긴장, 노화 등 다양한 요인으로 모상건막이 수축하거나 얇아지면 두피 전체의 긴장도가 증가하며 혈류 공급이 제한된다. 두피 혈액 순환이 저해되면 모낭으로 전달되는 산소와 영양이 감소하고, 이는 장기적으로 모발 생장 주기 약화와 탈모 촉진으로 이어지는 생리적 과정이 발생한다.


특히 만성 스트레스 상황에서는 교감신경 항진으로 인해 두피 혈관이 수축되고, 모상건막 자체의 긴장도도 상승한다. 이러한 상태는 두피가 단단해지고 탄력이 떨어지는 형태로 표출되며, 손으로 만졌을 때 움직임이 제한되고 ‘딱딱함’이 느껴지는 경우가 많다. 이는 모상건막-모낭 구조의 기능적 연계가 약화되었음을 의미하며 탈모 발생 위험성을 높이는 요인이 된다.

모상건막의 노화 역시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다. 나이가 들수록 섬유조직이 약해지고 지지력이 저하되면 두피 처짐(scalp ptosis)이 발생한다. 이는 두피와 모낭의 장력 균형을 무너뜨리고, 결과적으로 모발이 성장하기 어려운 환경을 만든다. 두피 노화와 탈모가 동시에 진행되는 경우가 많은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이러한 이유로 두피 약물요법, 두피 근막 이완, 두피 마사지, 두피 스트레칭 기법 등이 두피 관리 전략으로 활용되고 있다. 두피 이완은 모상건막의 장력을 낮추고 혈류를 증가시켜 모낭 기능 회복을 돕는 방식이다. 이는 유전적·호르몬적 원인을 제거하지는 못하지만, 두피 구조적 환경을 개선하여 탈모 억제 및 성장주기 안정화에 긍정적 영향을 줄 수 있다.

탈모는 유전적 요인, DHT(dihydrotestosterone) 대사, 스트레스, 영양 불균형, 지루성 피부염·모낭염 등 두피질환, 빈혈·갑상선 질환 등 전신적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다. 따라서 효과적 관리와 치료를 위해서는 모낭 기능뿐 아니라 모상건막의 상태, 두피 긴장도, 혈류 흐름까지 함께 평가하는 다층적 접근이 필요하다.

출처ㅡ통합자세의학회 

탈모가 의심되는 경우에는 과도한 스트레스 관리, 균형잡힌 영양섭취, 두피 환경 개선을 우선 고려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전문의 상담이 도움이 된다. 두피 구조의 변화와 모상건막의 기능적 저하는 탈모 진행에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탈모 관리 과정에서 이를 인지하고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음기사글이 없습니다.
건강칼럼2) 안면 비대칭과 턱관절·피부 윤곽의 상호 관계
칼럼/사설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건강칼럼3) 탈모와 모상건막 상호 process
속보) 이 대통령, 차관급 인사 발표…중노위 박수근..
속보) 구자현 서울고검장, 대검찰청 차장 임명으로 ..
속보)김건희 여사 친오빠 김진우씨, 양평공흥지구 개..
속보) 중국 국적 40대 친부, 10대 딸 둔기 살..
"수능 샤프, 올해는 '살구색'으로 등장... 부정..
"서울 경찰서장, '코인 수사 무마' 뇌물 혐의 구..
"한미 관세안보 협상 '조인트 팩트 시트' 최종 타..
"한동훈, '대장동 항소 포기' 외압 의혹 맹비난...
대전센터 행정정보시스템 49일 만에 전면 정상화…복..
 
최신 인기뉴스
단독) 파이온텍 2026-2027년 주식상장 Pla..
단독) 파이온텍 골반다이어트 K-뷰티 디렉터 혁신제..
단독) 파이온텍 K-뷰티 디렉터 탈모 과학 "이오와..
창원 도서관 인근 초등생 유인 시도…경찰 용의자 추..
건강칼럼1) 골반 다이어트 "비움과 정렬"
건강칼럼2) 안면 비대칭과 턱관절·피부 윤곽의 상..
임은정 서울동부지검장, 대장동 항소 포기 집단 성명..
속보) 대통령실, 제2부속실장 오상호 권양숙 여사 ..
세종시 아파트값 2주 만에 상승 전환…전세가격은 전..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학교 수업만으로 ..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