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진 경남 산청군에서 대규모 산사태가 발생하여 막대한 인명피해가 발생했다. 나흘간 600mm가 넘는 물폭탄이 쏟아지면서 산청읍 부리마을 일대를 덮친 토사는 주택을 매몰시키고 주민들의 삶을 한순간에 앗아갔다. 소방당국과 군 당국은 국가적 재난 상황에 대응하기 위해 총력 대응 태세에 돌입했으며, 실종자 수색과 추가 피해 방지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고 있다.
이번 산사태는 예견된 재앙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사고가 발생한 산청군에는 지난 나흘 동안 누적 강수량 632mm라는 전례 없는 양의 비가 집중됐다. 특히 사고 당일 오전에만 280mm가 넘는 폭우가 쏟아지면서 지반이 급격히 약화된 것이 직접적인 원인으로 분석된다. 계속된 비로 토양이 한계치 이상의 수분을 머금으면서 결국 산 전체가 무너져 내리는 참사로 이어진 것이다.
소방청은 중앙119구조본부를 중심으로 대규모 인력과 장비를 현장에 급파했다. 오후 1시를 기해 국가 소방동원령 1호를 발령하고 충북, 충남, 대구, 경북 등 인접 지역의 소방인력 60여 명과 특수 장비를 지원받아 수색 및 구조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그러나 계속되는 비와 추가 붕괴 위험으로 인해 구조 작업은 난항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까지 집계된 인명피해는 사망 1명, 심정지 1명, 실종 4명이며, 17명이 구조되어 병원으로 이송되었다. 실종자들은 대부분 매몰된 주택 내에 있을 것으로 추정되어 안타까움을 더하고 있다.
산청군은 이번 사태의 심각성을 인지하고 오후 1시 52분경, 전 군민에게 즉시 안전지대로 대피하라는 긴급 재난 문자를 발송했다. 이는 산사태 위험이 군 전역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판단에 따른 조치로, 주민들은 인근 학교와 마을회관 등으로 긴급히 몸을 피했다. 군은 이재민들을 위한 구호 물품을 지급하고 임시 거처를 마련하는 등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정부 역시 이번 산청 산사태를 국가적 재난으로 규정하고 범정부 차원의 대응을 약속했다. 관계 부처는 긴급회의를 소집하여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신속한 복구와 피해 주민 지원을 위한 방안을 논의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산사태를 계기로 기후 변화에 따른 국지성 집중호우의 위험성을 재인식하고, 전국의 산사태 취약 지역에 대한 전면적인 재점검과 근본적인 방재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입을 모은다. 막대한 양의 토사가 마을을 덮친 현장은 처참한 모습으로, 완전한 복구까지는 상당한 시간과 노력이 소요될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