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속보) 내란특검, '계엄 해제 저지' 의혹…한덕수·추경호 통화 사실 확인

박수경 기자 | 입력 25-08-11 16:24



12·3 비상계엄 사태를 수사 중인 내란 특별검사팀이 계엄 선포 당일, 한덕수 전 국무총리와 추경호 전 국민의힘 원내대표가 장시간 통화한 사실을 확인했다. 윤석열 전 대통령과 추 전 원내대표 간 통화 사실에 이어, 행정부와 당시 여당 지도부 사이의 또 다른 '핫라인'이 드러나면서, 국회의 계엄 해제 표결을 조직적으로 방해하려 했다는 의혹의 실체에 특검의 칼끝이 한 발 더 다가서고 있다.

박지영 특별검사보는 11일 정례 브리핑에서 "계엄 선포 당일 한 전 총리와 추 전 원내대표 간의 통화가 있었던 것이 확인됐다"고 공식적으로 밝혔다. 이는 국회의 계엄 해제 결의안 가결을 저지하기 위해 당시 국민의힘 지도부가 의원 총회 장소를 수차례 변경하는 등 조직적으로 움직였다는 의혹을 뒷받침하는 핵심적인 정황 증거가 될 수 있어 파장이 예상된다.

통화 사실은 이날 오전 특검에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해 조사를 받은 조경태 국민의힘 의원의 입을 통해 더욱 구체적으로 드러났다. 조 의원은 조사 후 기자들과 만나 "12월 3일 밤 11시 12분, 추 전 원내대표와 한 전 총리가 7분 이상 통화했다는 자료를 특검이 제시했다"고 전했다. 특히 그는 "한 전 총리가 당시 국무위원 전원이 비상계엄을 반대했음에도 윤 전 대통령이 강행했다는 취지의 이야기를 추 전 원내대표에게 한 것으로 안다"고 설명했다. 만약 이 내용이 사실이라면, 추 전 원내대표 등 당시 여당 지도부가 계엄 선포의 위법성을 인지하고도 국회의원들의 국회 복귀를 막고 표결 참여를 저지하려 했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 없게 된다.

특검은 계엄 당일 국회 본회의에 참석해 해제 결의안에 찬성표를 던진 국민의힘 의원 18명을 우선적으로 소환해 당시 상황을 재구성하는 데 주력하고 있다. 이 과정에서 '국회 대신 당사로 모이라'는 문자를 집중적으로 발송한 의원들이나, 국회 내부에 있었음에도 표결에 불참한 의원들의 행적이 수사 선상에 오를 전망이다. 특검은 이날 조 의원에 이어 오후에는 김예지 의원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하는 등 관련자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이와 함께 특검은 계엄 사태의 또 다른 핵심 인물들에 대한 수사 고삐도 바짝 죄고 있다. 특검은 이날 박종준 전 대통령 경호처장을 재소환해 윤 전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방해 및 비화폰 서버 기록 삭제 관여 혐의 등을 집중 추궁했다. 또한 특정 중요 시점에 주요 인물과 통화한 내역이 포착된 노상원 전 국군정보사령관도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제3자 내란 방조' 혐의에 대한 조사를 진행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속보) 포스코이앤씨, 광명 고속도로 공사 현장 감전 사고로 압수수색
속보) 경찰, ‘차명 주식거래 의혹’ 이춘석 의원 출국금지…수사 급물살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軍검찰단장 前 "박정훈 체포, 이종섭과 얘기된 것"..
속보) 이석연 국민통합위원장·위철환 선관위원 지명
속보) 이재명 대통령, 가수 '박진영' 대통령 직속..
'상관 괴롭힘' 유서 남긴 3사관학교 대위 사망…육..
속보) 대통령실 “이배용 국가교육위원장”, 8일..
특검 "군검찰, 2023년 박정훈 대령 체포영장 2..
속보) 국민의힘 권성동 체포동의안 국회 보고
속보) 코스피 3,231.31(▲11.72p, 0...
조지아 구금 300여명 '자진 출국' 가닥…조현, ..
주식 차명거래' 이춘석 의원 관련자 45명 조사…..
 
최신 인기뉴스
故 서희원 별세 6개월... 구준엽, 폭우에도 매일..
단독) 국립심포니오케스트라 공연,
'세종시 ..
속보) 코스피 3,209.81(▲4.69p, 0.1..
전주 밤샘 폭우 170mm... 만경강 수위 상승에..
이재명 정부, 첫 부동산 대책 발표…수도권 135만..
조지아 구금자 300명 석방 교섭 완료…
정부..
조국혁신당 지도부 '성비위 미숙 대응' 총사퇴…조국..
시진핑·푸틴 '불멸' 대화 영상, 중국 압력에 삭..
'관봉권 띠지 분실' 검찰 책임 공방... 이재명 ..
"성희롱은 범죄 아니다" 발언 파문...
조..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