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인크루트 730만명 정보 유출 "방치", 4억대 과징금 철퇴

이수민 기자 | 입력 25-10-23 16:28



온라인 취업 포털 사이트 인크루트가 730만 명에 육박하는 대규모 회원 개인정보 유출 사고를 겪고도, 해커의 협박 메일을 받기 전까지 두 달간 해당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는 심각한 보안 관리 부실을 드러냈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23일, 이와 같은 안전 조치 의무 소홀의 책임을 물어 인크루트에 총 4억 6300만 원의 과징금을 부과했다.
개인정보위가 22일 전체 회의를 통해 의결한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이번 사고는 지난 1월 신원미상의 해커가 인크루트 직원의 업무용 개인 컴퓨터(PC)에 악성코드를 감염시키면서 시작됐다. 해커는 이를 통해 개인정보취급자의 데이터베이스 접속 계정 정보를 탈취했으며, 내부 시스템에 성공적으로 침투했다.
유출 규모는 심각한 수준이다. 해커의 공격으로 인해 인크루트 회원 총 727만 5843명의 개인정보가 외부로 유출됐다. 뿐만 아니라, 이용자들의 학력과 경력, 자격 사항 등 지극히 민감한 정보가 포함된 이력서 및 자기소개서 파일 5만 4475건, 총 438GB(기가바이트) 분량의 파일 역시 함께 탈취당한 것으로 확인됐다.

더 큰 문제는 인크루트의 사후 대응 능력이다. 인크루트는 지난 1월 해킹이 발생한 이후 두 달이 지나도록 이와 같은 대규모 정보 유출 사실을 전혀 파악하지 못했다. 유출 사실을 인지하게 된 계기마저 자체 모니터링이나 보안 시스템 작동이 아닌, 데이터를 탈취한 해커가 직접 보낸 협박 메일을 통해서였던 것으로 드러나 보안 체계가 사실상 마비됐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게 됐다.
개인정보위는 구직자들이 취업을 위해 자신의 학력, 경력, 자격증 등 내밀한 개인정보를 입력하는 취업 포털의 특수성을 고려할 때 이번 사안이 매우 중대하다고 판단했다. 민감 정보를 대량으로 보유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접근 통제 등 핵심적인 안전 조치 의무를 소홀히 하여 막대한 피해를 유발했다는 것이다.

인크루트의 개인정보 보호 관련 행정처분은 이번이 처음이 아니다. 인크루트는 앞서 2020년에도 이용자 개인정보 3만 5076건이 유출되는 사고가 발생했으며, 이로 인해 2023년 7월 개인정보위로부터 과징금 7060만 원과 과태료 360만 원을 부과받은 전례가 있다. 불과 1년여 만에 또다시, 그리고 비교할 수 없이 큰 규모의 유출 사고를 반복한 셈이다.
개인정보위는 4억 원대의 과징금 부과와 함께 인크루트에 대해 정보보호최고책임자(CPO) 신규 지정, 피해자 회복 지원책 마련 등 재발 방지를 위한 시정 조치도 함께 명령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건진법사 5천만 원 띠지' 분실, 대검 "실수" 보고에 법무부 "상설특검 검토"
"신고 안 해도 현장조사"...정부, 잇단 해킹에 '징벌적 과징금' 카드 꺼냈다
사회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피 토하고 죽고 싶은 심정"...'쿠팡 수사 외압..
'국가유산 사유화' 논란 확산...윤석열·김건희 ..
'건진법사 5천만 원 띠지' 분실, 대검 "실수" ..
단독) 통합자세의학회, 한국미디어일보 의료학술단체 ..
'거짓말쟁이’ 발언에 국감장 발칵…
오세훈-명..
인크루트 730만명 정보 유출 "방치", 4억대 과..
이상경 국토교통부 1차관, '갭투자' 논란 끝 공식..
"신고 안 해도 현장조사"...정부, 잇단 해킹에 ..
국정원 "캄보디아 대학생 살해 주범, '대치동 마약..
속보) 한국은행, 기준금리 연 2.50%로 3연속 ..
 
최신 인기뉴스
광복 80주년 기념 ‘홍익인간 효·인성 강연회 및..
종묘 이어 경회루까지...김건희, 국보 사적활용 의..
이재명 대통령, "방산 4대 강국" 천명..."예상..
민주당, '대법관 26명으로 증원' 사법개혁안 발표..
속보) 이재명 대통령 "권력 아닌 국민의 경찰 돼야..
국감 중반전, '사법개혁'·'부동산' 전선 격화...
선정성 논란 '메이드 카페', 청소년 무방비 노출 ..
"집값 떨어지면 사라"던 국토차관, 본인은 '갭투자..
칼럼) "휴먼다큐 사랑" 우리가슴에 forever
대법원 "지귀연 판사 술값 170만 원, 징계 사유..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