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이 12·3 비상계엄 사태 1년을 앞두고 장외 여론전에 시동을 걸면서 정치권의 긴장감이 다시 고조되고 있다. 국민의힘은 정부·여당의 국정 운영을 정면 겨냥해 지지층 결집을 시도했고,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의힘의 ‘윤 전 대통령과의 관계 설정’ 문제를 다시 꺼내 들며 강하게 반발했다. 비상계엄 정국 재부각이 여야 공방의 새로운 불씨로 떠오르는 양상이다.
국민의힘은 22일 부산에서 대국민 장외 여론전을 열고 검찰의 대장동 사건 항소 포기 결정을 집중 비판했다. 지도부는 이 사안을 “국민 포기의 상징적 사건”이라 규정하며 지지층의 위기감을 부각하는 데 주력했다.
장동혁 대표는 행사에서 “7천8백억 원을 대장동 일당의 호주머니에 집어넣은 항소 포기는 국민을 포기한 것”이라고 주장하며 이재명 대통령과 현 정부를 직접 겨냥했다. 주진우 의원 역시 “이재명 대통령과 성남시 수뇌부가 다 공범이라는 것을 자백한 것”이라며 기존 입장을 재확인했다.
국민의힘은 검찰 판단뿐 아니라 최근 국회에서 논의되는 배임죄 폐지, 대법관 증원 등을 한꺼번에 문제 삼으며 “법치주의 붕괴”를 강조했다. 장 대표는 “법치주의를 끝내려 할 때 우리는 이재명 정권을 끝내야 한다”고 발언해 강경 기조를 유지했다.
반면 민주당은 국민의힘의 장외 행보를 정면 비판하며 ‘윤 어게인’ 논란을 다시 꺼내 들었다. 민주당은 최근 국민의힘 일각에서 나온 “우리가 황교안” 발언과 일부 의원들의 윤 전 대통령 옹호 메시지를 언급하며 “국민의힘에는 국민이 없다”고 반발했다.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내란과 부정선거의 늪에 빠진 것을 자인하며 제 무덤을 파고 있는 꼴”이라고 비판했고, 정청래 대표는 “아직도 윤 어게인을 외치니 비루하고 처참하다”고 발언하며 국민의힘에 윤 전 대통령과의 분명한 단절을 재차 요구했다. 백승아 원내대변인도 “윤석열과의 관계를 단절하는 것이야말로 공당으로 살아남을 수 있는 유일한 길”이라고 거들었다.
여야 공방은 정부 차원의 계엄 가담 여부 조사 TF 설치 문제로도 이어지고 있다. 민주당은 이를 “민주주의 복원 절차”라고 규정하며 조사 필요성을 강조한 반면, 국민의힘은 “공무원 전담 내란 재판소를 만들려는 것”이라며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비상계엄 1년을 앞두고 여야가 각각 지지층 결집과 책임 공방을 재개한 만큼, 관련 논쟁은 향후 국정 전반에 걸쳐 장기화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정치권에서는 이 사안이 연말 정국의 핵심 이슈 중 하나로 부상할 것이라는 분석도 제기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