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동운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처장이 최근 제기된 ‘직무유기’ 논란에 대해 “어떤 사건도 외면하거나 덮은 적 없다”며 “제식구 감싸기가 아니라, 때로는 내치기를 해온 조직”이라고 반박했다.
오 처장은 11일 정부과천청사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공수처가 권력기관의 비위나 내부 비리를 제대로 수사하지 않고 있다는 비판이 있지만, 이는 사실과 다르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공수처는 특정 진영의 이해관계에 따라 움직이지 않는다. 법과 원칙에 따른 수사와 기소만을 기준으로 판단해 왔다”고 강조했다.
최근 공수처는 내부 직원의 개인정보 유출 의혹, 전직 간부의 수사 무마 논란 등을 놓고 '직무유기'와 '제식구 감싸기' 비판을 받아왔다. 이에 대해 오 처장은 “조직 내부의 잘못에 대해서는 더 엄격하게 판단하고 있다”며 “실제로 내부 감찰 결과 문제 소지가 있는 인사에 대해서는 징계 절차를 진행했고, 필요한 경우 수사기관에 이첩했다”고 밝혔다.
그는 “공수처는 출범 초기부터 정치적 중립성과 독립성을 지키기 위해 애써 왔다”며 “수사나 기소 여부를 외부 시선이 아닌 증거 중심으로 판단해온 만큼, ‘직무유기’라는 표현은 부당하다”고 말했다.
또한 오 처장은 “공수처는 내부 문제를 덮는 조직이 아니라 스스로를 개혁하는 조직이 되어야 한다”며 “내부 기강 확립과 투명한 인사·감찰 시스템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고위공직자 부패 수사는 국민의 신뢰가 전제돼야 가능한 일”이라며 “정파적 판단이 아닌, 국민 눈높이에 맞는 공정한 수사로 신뢰를 회복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공수처는 최근 윤석열 전 대통령의 ‘12·3 비상계엄 사건’ 수사와 관련해 일부 정치권으로부터 ‘편향 수사’ 지적을 받고 있다. 이에 대해 오 처장은 “특정 세력을 겨냥한 수사가 아니다. 모든 사건은 동일한 법적 기준 아래서 진행된다”며 “수사팀이 법과 증거에 따라 절차를 밟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공수처가 만들어진 이유는 고위공직자의 부패를 감시하고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기 위해서”라며 “앞으로도 어떤 외풍에도 흔들리지 않는 공정한 기관으로 남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