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 국어 영역에서 고난도 문항으로 꼽혔던 17번 문제에 정답이 없다는 대학교수의 주장이 제기되어 논란이 확산되고 있다. 해당 문항은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인격 동일성' 개념을 다룬 지문을 바탕으로 출제되었으며, 이미 수험생과 학원가 사이에서 오답 가능성에 대한 이의제기가 다수 접수된 바 있다.
오늘(19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충형 포항공대(포스텍) 철학과 교수는 한 수험생 커뮤니티 게시판을 통해 수능 국어 17번 문항에 대한 정답 오류를 주장했다. 이 교수는 해당 문항이 칸트 이전의 인격 동일성 견해를 담은 지문을 토대로, 갑과 을의 주장을 <보기>로 제시한 뒤 가장 적절한 반응을 찾는 문제였다고 설명했다. 문제의 <보기>에서 갑은 "두뇌에서 일어나는 의식을 스캔해 프로그램으로 재현한 경우, 본래의 자신과 재현된 의식은 동일한 인격이 아니"라고 주장한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공개한 정답은 3번, 즉 "칸트 이전까지 유력했던 견해에 의하면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으로는 인격의 동일성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갑의 입장은 옳지 않겠군"이었다.
그러나 이 교수는 갑의 입장은 옳다고 판단하므로 정답이 3번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그는 지문 도입부에 "칸트 이전까지 인격의 동일성을 설명하는 유력한 견해는 '생각하는 나'인 영혼이 단일한 주관으로서 시간의 흐름 속에 지속한다는 것이었다"는 문장이 나온 점에 주목했다. 스캔 프로그램을 통해 의식이 재현되는 상황은 '단일한 주관'이라는 조건을 충족시키지 못하므로,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으로는 인격의 동일성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갑의 입장은 철학적으로 옳다는 것이다.
이 교수는 또한 "(문제 출제자가) 'a=b이고 a가 C면, b도 C다'는 논증을 너무 쉽게 생각한 듯하다"며 문제의 논리적 구조 자체에 결함이 있음을 지적했다. 그는 "갑은 '생각하는 나'에 대해서 말하고 있지 영혼에 대해서는 말하고 있지 않아, '생각하는 나'와 '영혼'의 연결 고리가 필요하다"며 "이 둘의 유일한 연결고리는 '생각하는 나인 영혼'이라는 표현인데, 지문과 보기 어디에도 나오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이 교수는 연합뉴스와의 통화에서 "실제로는 굉장히 복잡한 개념이 사용된 상황이어서 이런 논증이 간단하게 적용될 수 없다"고 강조하며, 논증이 이 상황에 적용되지 않는다는 점과 '지속성'이라는 개념 자체가 고등학교 학생이 이해할 수 있는 수준이 아니다고 비판했다. 그는 "저 역시 지문을 이해하는 데만 20분이 걸렸다"고 밝혀 문항의 난이도와 적절성에 의문을 제기했다. 참고로 이 교수는 국어 17번 문항과 관련 있는 '수적 동일성' 개념을 이용한 논문으로 '2022년 최고의 철학 논문 10편'에 선정된 바 있는 해당 분야의 전문가이다.
이번 정답 오류 주장은 전문가 집단뿐만 아니라 수험생 커뮤니티와 학원가에서도 동조를 얻고 있다. 국어 독해 및 논리 분야의 유명 강사인 이해황 씨 역시 이 교수와 같은 견해를 담은 동영상을 유튜브에 게시했으며, "이 교수님이 이런 주장을 메일로 보내주셨고, 면밀히 검토한 결과 저도 같은 결론을 내렸다"고 밝혔다. 고난도 문항으로 지목된 국어 17번 문항에 대해서는 이미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10건의 이의제기가 접수된 상황이었다. 이번 포스텍 교수의 전문적인 지적까지 더해지면서 평가원이 해당 문항에 대한 재검토 및 공식 입장을 발표할지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수능 정답 오류 논란은 수험생들의 신뢰와 직결되는 문제인 만큼, 평가원의 신속하고 명확한 해명이 요구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