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한동훈 전 대표가 권성동 의원의 불법 정치자금 수수 의혹으로 정국의 핵으로 떠오른 통일교 문제와 관련해, 자신은 과거 통일교 측의 만남 요구를 거절했다며 명확히 선을 긋고 나섰다. 특정 종교나 집단과의 거래를 통해 정치적 목적을 이루려는 시도는 정당 민주주의의 근간을 흔드는 행위라고 강하게 비판하며, 자신은 이러한 원칙을 총선 공천 과정에서도 일관되게 적용했다고 강조했다.
한 전 대표는 10월 2일 SBS 라디오 '정치쇼'에 출연하여 "당 대표 시절로 기억하는데, 통일교 한학자 총재 측에서 저를 보고 싶으니 총재 사무실로 와달라는 연락이 온 적이 있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당연히 부적절하다고 생각해 응하지 않았다"고 말하며, 의도를 떠나 정치인은 이러한 종류의 접촉에 있어 투명해야 한다는 소신을 피력했다. 이는 현재 불법 정치자금 및 금품 제공 혐의로 구속 수사를 받고 있는 한 총재와 현역 의원이 연루된 사건의 파장이 커지는 가운데, 자신은 이와 무관하다는 점을 분명히 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는 이러한 원칙이 특정 종교에 국한된 것이 아니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한 전 대표는 "특정 집단과 어떤 거래 관계를 통해서 특정한 목적을 이룬다는, 서로 간의 이해 합치로 이런 일이 벌어지면 정당민주주의가 무너진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지난 총선에서 통일교와의 연관성이 거론되었던 김영선 전 의원, 김상민 전 검사, 박성근 전 국무총리비서실장 등을 공천하지 않은 사실을 언급하며, "통일교도 안 만난 것"이라고 자신의 결정을 재차 강조했다.
한편, 한 총재는 권성동 의원과 김건희 여사에게 금품을 제공한 혐의(청탁금지법 위반, 업무상 횡령 등)로 구속된 상태이며, 법정에서는 "정치에 관심이 없다"며 혐의를 전면 부인하고 있다.
한 전 대표는 또한 당 소속 서울시의원의 종교 단체 당비 대납 의혹이 불거진 더불어민주당을 향해서는 "됐고, 그냥 압수수색 받으시라"며 날을 세웠다. 동시에 내란 특검 공판의 증인 신문 불출석 논란에 대해서는 "정치 특검의 보수 분열 의도에 말려들 생각이 없다"면서도, "강제 구인 영장이 발부된다면 당당히 응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