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그인 | 포토/TV | 뉴스스크랩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57%, 소폭 하락세…민주·국힘은 '답보'

이다혜 기자 | 입력 25-10-02 11:51



이재명 대통령의 국정운영 지지율이 50%대 후반의 높은 수준을 유지했으나, 소폭의 하락세가 이어지며 숨 고르기에 들어간 양상이다. 반면, 거대 양당인 더불어민주-국민의힘의 지지율은 변동 없이 제자리걸음을 하며 30%에 달하는 무당층의 표심을 어느 쪽도 흡수하지 못하는 정치적 교착 상태가 계속되고 있다.

엠브레인퍼블릭·케이스탯리서치·코리아리서치·한국리서치가 지난 9월 29일부터 10월 1일까지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10월 1주차 전국지표조사(NBS) 결과, 이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대한 긍정 평가는 57%로 나타났다. 이는 2주 전 조사보다 2%포인트 하락한 수치다. 반면, 부정 평가는 3%포인트 상승한 34%로 집계되어 긍·부정 격차는 23%포인트로 좁혀졌다.

이번 지지율 하락은 최근 정부가 연일 민생 경제와 규제 합리화 등 경제 이슈에 집중하는 가운데 나타난 결과여서 주목된다. 대통령실은 국무회의 등을 통해 장바구니 물가 안정과 불합리한 유통 구조 개혁을 강조하고, AI 산업 육성을 위한 금산분리 완화 가능성을 시사하는 등 경제 활성화에 총력을 기울이는 모습을 보였다. 하지만 이러한 정책적 노력이 아직 국민 다수가 체감하는 성과로 이어지지 못하고, 고물가 등 경제적 불안감이 대통령 지지율에 미세한 조정 요인으로 작용했을 수 있다는 분석이 제기된다.

정당 지지도는 더불어민주당 41%, 국민의힘 22%로 2주 전과 동일한 수치를 기록했다. 이 대통령의 높은 지지율에도 불구하고 여당인 민주당의 지지율이 동반 상승하지 못하고 40% 초반대에 머물러 있는 점은 과제로 남았다. 제1야당인 국민의힘 역시 20% 초반의 지지율에서 좀처럼 반등의 계기를 마련하지 못하고 무기력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특히 주목할 부분은 지지하는 정당이 없거나 응답을 유보한 '태도 유보층'이 30%에 달한다는 점이다. 이는 양당 모두에게 기회이자 위기 요인이다. 현재의 정치 지형에 만족하지 못하는 중도·무당층의 마음을 사로잡는 정당이 향후 정국의 주도권을 쥘 수 있지만, 반대로 양당 모두 기성 정치에 대한 실망감을 키우며 정치 불신을 심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번 조사는 휴대전화 가상번호(100%)를 이용한 전화 면접으로 진행됐으며,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5.6%였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음기사글이 없습니다.
박진영 대중문화교류위 출범…민간위원 26명
정치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57%, 소폭 하락세…민주·..
속보) 한동훈, "통일교 총재와 부적절한 접촉 응하..
속보) 공수처 '지귀연 의혹' 강제수사, 법원 문턱..
속보) 코스피, 역사적 이정표 세우다…사상 첫 3,..
통신비 할인 효과 소멸, 물가 상승률 2%대 복귀
국가 행정 기록 증발, 재난 대비 부재가 낳은 참사
법원, 한학자·권성동 구속 유지 결정… "청구 이..
국회 의원회관 남자화장실서 손도끼·너클 발견…경찰..
엄희준, 쿠팡 불기소 결정문서 '민사로 다툴 부분'..
박진영 대중문화교류위 출범…민간위원 26명
 
최신 인기뉴스
단독) 셀업유니온, (주)파이온텍 전국 디렉터 세미..
속보) 대통령실, 김남준 부속실장 신임 대변인 임명..
'정부24' 극적 복구됐지만…핵심 시스템 완전 정상..
속보) '중국인 무비자 관광객 칼부림' SNS에 협..
정부, '1등급 시스템 55%' 복구 발표…중단된 ..
대법, '지귀연 뇌물수수' 2심 무죄 확정…
..
수도권 군사보호구역 398만㎡ 해제…김포·강화·..
속보) "국민 메신저"의 변신, 이용자 반발에 '백..
속보) "추석 소포 대란 막아라"…우편 서비스 대부..
"배터리 화재, 자체 진화 불가능"…119 녹취록으..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