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이재명 대통령, 고 신해철 11주기 추모 "자유롭고 정의로운 세상은 여전한 과제"

박수경 기자 | 입력 25-10-27 09:29



고(故) 신해철 씨의 11주기(27일)를 하루 앞둔 26일, 이재명 대통령이 고인을 추모하며 그가 남긴 사회적 메시지를 되새겼다. 이 대통령은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을 통해 신 씨를 "시대의 음악인이자 양심"이라고 명명하며, 그가 추구했던 가치가 현시대에도 여전히 중요한 과제로 남아있음을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신 씨가 "청년들에게는 '생각하는 힘'을, 기성세대에는 '성찰할 용기'를 일깨워준 상징적 존재"였다고 평가했다. 이어 "그가 세상에 던진 질문은 결코 가볍지 않다"며 "누구도 쉽게 답하지 못하는 문제, 모두가 외면하던 불완전한 현실에 정면으로 맞서며 우리에게 두려움 대신 용기를 택하자고 말했다"고 회고했다. 또한 고인이 음악을 통해 사회적으로 고립된 이들의 손을 잡고 상처 입은 이들과 연대했다고 덧붙였다.

특히 이 대통령은 고인이 생전에 꿈꿨던 이상 사회를 언급하며 현재의 시대적 과제와 연결지었다. 그는 "그가 꿈꾸던 자유롭고 정의로운 세상, 누구도 소외되지 않는 공동체는 여전히 우리 앞에 놓인 과제"라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그의 삶이 전하는 메시지는 앞으로도 우리가 나아갈 길을 밝혀주는 등불이 되리라 믿는다"고 적었다.

[강영호 작가 인스타그램 캡쳐]

이번 추모 메시지에는 예술의 사회적 역할에 대한 이 대통령의 고찰도 담겼다. 이 대통령은 "'예술이 세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가'하는 본질적 질문을 다시금 생각한다"고 언급했다. 이와 함께 지난달 별세한 할리우드 배우 로버트 레드퍼드의 "정치가 아닌 예술이 바로 치유의 힘"이라는 말을 인용하며, 예술이 가진 치유와 사회적 연대의 기능에 주목하는 모습을 보였다.

이 대통령의 이번 추모는 최근 이 대통령과 신 씨의 인연이 담긴 사진이 공개되며 화제가 된 가운데 나왔다. 앞서 사진작가 강영호 씨는 지난 23일 자신의 소셜 미디어를 통해 2022년 대선 후보 시절 이 대통령이 신 씨의 유품인 무대의상을 입고 촬영한 사진을 공개했다. 강 작가는 당시 이 대통령이 "모델 이상으로 기꺼이 콜라보레이션을 해주는" 모습을 보였다면서, 이를 두고 이 대통령이 "새로운 길을 만들어가는 사람으로 보인다"고 평가한 바 있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여의도와 민심은 다르다"… 한동훈,
내년 지방선거·재보궐 '등판설'에 선 그어
속보)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51.2%… 2주 연속 하락, "부동산 악재" 속 최저치 근접
정치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여의도와 민심은 다르다"… 한동훈,
내년 ..
속보) "순직 해병" 특검, 오동운 공수처장 금주 ..
"김건희 국정농단" 특검팀, 신임 특검보 2명 합류..
속보) '내란' 특검, 황교안 전 총리 자택 압수수..
속보) 코스피, 사상 최초 장중 4000선 돌파… ..
이재명 대통령, 고 신해철 11주기 추모 "자유롭고..
속보) 삼성전자, 프리마켓 10만원 돌파… 사상 최..
속보) 이재명 대통령 지지율 51.2%… 2주 연속..
국회, '응급실 뺑뺑이 방지' 등 민생법안 70여 ..
국회, '장애인 평생교육권 보장' 법안 등 교육 관..
 
최신 인기뉴스
"서울 집값 잡겠다"던 10·15 대책, 정작 충..
통합자세의학회·㈜파이온텍 학술 바이오 연구 협력 ..
단독) 홍익대 2025 홍익패션위크 Fashion ..
특검 '투 트랙' 수사 명암...임성근 구속, '수..
트럼프 대통령 29일 방한 확정...이재명 대통령과..
민주당 “장동혁, 전국 부동산 싹쓸이…아파트만 4채..
"두 번" 대 "일곱 번"...국감장서 정면충돌한 ..
최민희 'MBC 본부장 퇴장' 조치에...여당 내부..
주말 늦가을 날씨 만끽...다음 주 '초겨울' 강력..
백악관 "트럼프 아시아 순방 중 김정은 만날 일정 ..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