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ㆍ문화 라이프 오피니언 의료
 

 

트럼프 “전쟁은 끝났다”…이스라엘·하마스 가자 휴전 발효

백설화 선임기자 | 입력 25-10-13 09:48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 간의 가자지구 휴전 합의가 발효된 것을 두고 “전쟁은 끝났다”고 선언했다.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중재한 이번 합의는 ‘가자 평화 구상(Gaza Peace Initiative)’의 1단계로, 전면적 교전 중단과 인질·수감자 교환을 포함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12일(현지시간) 이스라엘과 이집트 방문길에 대통령 전용기 ‘에어포스원’ 안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제 전쟁은 끝났다”며 “휴전은 유지될 것이고, 국제 안정화군이 일부 지역에서 훌륭하고 강력한 지원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모든 당사국이 피로한 상황에서 평화를 위한 첫걸음이 현실이 됐다”며 휴전의 지속 가능성에 자신감을 보였다.

그의 이 같은 발언은 베냐민 네타냐후 이스라엘 총리가 “전쟁이 완전히 끝난 것은 아니다”라고 신중한 입장을 유지한 것과 대조적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네타냐후 총리의 입장도 존중하지만, 이제 세계가 평화의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백악관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13일 오전 이스라엘 텔아비브에서 하마스에 억류됐다가 풀려난 인질들의 가족을 만날 예정이다. 이어 같은 날 오후 이집트 샤름엘셰이크에서 열리는 ‘중동 평화 기념식’에 참석해 가자 휴전 합의 서명식에도 함께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번 휴전 합의는 트럼프 행정부가 주도한 ‘가자 평화 구상’의 첫 단계다. 합의안에 따라 하마스는 13일 오전 이스라엘 인질 20명을 석방하고, 이스라엘 정부도 이에 맞춰 팔레스타인 수감자들을 풀어주기로 했다.

또한 양측은 가자지구 내 인도적 지원 통로를 재개하고, 국제연합(UN)과 미군이 주도하는 국제 안정화군이 일부 지역에 주둔하는 데 합의했다. 이 안정화군은 휴전 감시 및 인도적 지원 활동을 맡게 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가자지구는 너무 오랫동안 고통의 땅이었다”며 “이번 합의는 단순한 휴전이 아니라 중동 평화의 기틀을 마련하는 역사적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미국 국무부는 이번 합의가 완전한 평화 체제로 이어지기 위해선 “하마스의 무장 해제와 이스라엘의 점진적 봉쇄 완화, 팔레스타인 자치정부의 행정 복귀” 등이 뒤따라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국제사회는 신중한 낙관론을 내놓고 있다. 유엔과 유럽연합(EU)은 이번 휴전을 “중동 안정의 중요한 기회”라고 평가했지만, “하마스의 재무장이나 극단주의 세력의 반발 가능성”을 우려하는 목소리도 나온다.

이번 합의가 지속된다면, 중동 지역은 오랜 무력 충돌 이후 첫 실질적 평화 국면을 맞게 될 전망이다.
 
Copyrightⓒ한국미디어일보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올해 노벨경제학상, ‘기술 혁신과 경제 성장’ 연구한 3인 공동 수상
EU, 수입 철강에 50% 관세 장벽"…
한국 철강업계 최대 시장 잃나
국제 기사목록 보기
 
최신 뉴스
“롯데백화점에 폭탄 설치” 허위 글로 100여 명 ..
이재명 대통령 “국민 지킬 때 국가는 소방관을 지키..
법무부, 대검찰청…구형한 형량보다 더 높은 형 선고..
서해안고속도로 역주행 참사…만취 운전자 승합차 충돌..
김기현 의원 “아내가 김건희 여사에게 명품 클러치 ..
법무부 내부서도 “항소해야”…장·차관은 ‘반대’ ..
한동훈 “검찰, 대장동 항소 포기로 스스로 자살…<..
검찰의 "대장동 항소 포기" 결정, 거센 후폭풍 속..
오세훈 서울시장, "김건희 국정농단" 특검 출석....
대장동 비리 항소 불허 폭로 확산 수사팀 "법무부 ..
 
최신 인기뉴스
스물세 살 안세영, 배드민턴 여자단식 역대 최고 선..
일론 머스크 “테슬라 차세대 AI칩, 삼성전자·T..
속보) 도의회 "특근매식비 부정 사용" 의혹 제기된..
코스피, 4,000선 다시 붕괴…AI 고평가·美 ..
단독) 통합자세의학회 인증 받은 ‘볼륨톡스 엑스티 ..
단독) 한국미디어일보 2025년 신뢰받는 의료인 양..
‘검사 술접대’ 수사, 추미애 겨냥 정황 드러나…법..
단독) 63번째 ‘소방의날’ 소방관들은 마음은?
"김건희 국정농단" 특검팀, 김건희 씨에 24일 소..
속보) 울산 화력발전소 대형 구조물 붕괴 참사.....
 
신문사 소개 이용약관 개인정보처리방침 기사제보
 
한국미디어일보 / 등록번호 : 서울,아02928 / 등록일자 : 2013년12월16일 / 제호 : 한국미디어일보 / 발행인 ·  대표 : 백소영, 편집국장 : 이명기 논설위원(대기자), 편집인 : 백승판  / 발행소(주소) : 서울시 중구 을지로99, 4층 402호 / 전화번호 : 1566-7187   FAX : 02-6499-7187 / 발행일자 : 2013년 12월 16일 / 청소년보호책임자 : 백소영 / (경기도ㆍ인천)지국, (충청ㆍ세종ㆍ대전)지국, (전라도ㆍ광주)지국, (경상도ㆍ부산ㆍ울산)지국, (제주특별자치도. 서귀포시)지국 / 이명기 전국지국장
copyright(c)2025 한국미디어일보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