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가 테슬라의 차세대 인공지능(AI) 칩 ‘AI5’를 한국의 삼성전자와 대만 TSMC의 여러 공장에서 생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동시에 반도체 공급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테슬라가 자체 제조시설 ‘테라 팹(Tera Fab)’을 건설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머스크는 현지시간 6일 미국 텍사스 오스틴에서 열린 테슬라 연례 주주총회에서 “AI5 칩은 기본적으로 네 곳에서 생산될 것”이라며 “삼성전자와 TSMC의 대만, 텍사스, 애리조나 공장에서 제조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그는 “현재 가장 큰 고민은 충분한 양의 칩을 어떻게 확보할 수 있을지에 관한 것”이라며 “TSMC와 삼성에 대한 신뢰와 존중은 크지만, 이들이 제공할 수 있는 공급량을 최대로 잡아도 여전히 부족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결국 테슬라가 자체적인 반도체 공장을 건설해 ‘테라 팹’을 운영해야 할 때가 올 것”이라고 덧붙였다.
AI5 칩은 테슬라의 자율주행 및 AI 트레이닝 슈퍼컴퓨터 ‘도조(Dojo)’의 핵심 부품으로, 자율주행 알고리즘 학습 속도를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차세대 고성능 반도체다. 업계에서는 AI5가 엔비디아의 H200급 AI 가속기와 경쟁할 것으로 보고 있다.
머스크의 이번 발언은 테슬라가 단순한 완성차 기업을 넘어 반도체·AI 인프라까지 직접 통제하려는 전략적 전환을 예고한 것으로 해석된다. 특히 삼성전자를 공식적으로 테슬라 AI칩 생산 파트너로 언급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양사의 협력 관계가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업계 관계자는 “테슬라가 AI칩 핵심 생산기지로 한국을 포함시킨 것은 삼성전자의 첨단 3나노 공정 신뢰도가 반영된 결과”라며 “테슬라가 자체 팹을 세우더라도 초기 양산은 삼성과 TSMC의 기술력에 의존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테슬라는 올해 말까지 AI5 칩의 시험 생산을 시작하고, 2026년부터 본격 양산에 돌입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