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이 KT의 해킹 사고 처리 과정에서 서버를 고의로 폐기하여 증거를 은닉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대대적인 강제 수사에 나섰다. 11월 19일 오전,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 소속 수사관 20여 명이 KT의 판교 사옥과 방배 사옥을 압수수색하며, KT의 조직적 은폐 시도 여부를 규명하기 위한 본격적인 수사에 착수했다.
이번 수사의 핵심은 KT가 해킹 사고 발생 후 서버를 폐기해 증거를 은닉했다는 의혹이다. 사건은 지난 8월 미국 보안 전문 매체 프랙(Frack) 등이 KT 서버 해킹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불거졌다. 이후 KT가 해당 서버를 고의로 폐기했다는 의혹이 제기되었고, 이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과기정통부)가 KT의 해킹 사고 조사 방해 정황을 자체적으로 확인한 뒤 지난달(11월 2일) 경찰에 수사를 의뢰하며 공식 수사로 이어졌다.
경기남부경찰청 반부패·경제범죄수사대 소속 수사관 약 20명은 KT 판교 사옥 및 방배 사옥에서 서버 폐기 정황과 증거 은닉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관련 자료 확보에 집중하고 있다. 확보된 압수물은 정밀 분석을 거쳐 KT의 고의성 여부를 판단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할 예정이다. 이와 관련하여 황태선 KT 정보보안실장은 위계에 의한 공무집행방해 혐의로 이미 입건된 상태이며, 황 실장 역시 이번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되었다.
이번 경찰의 압수수색은 KT의 해킹 사고 처리 과정에서 조직적인 증거 은폐 시도가 있었는지를 규명하는 중대한 단계로 평가된다. 만약 수사 결과 서버 폐기와 증거 은닉 사실이 고의적인 행위로 드러날 경우, KT는 단순 해킹 사고를 넘어 사법 기관 및 정부 조사를 방해했다는 점에서 기업 신뢰도에 막대한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 특히 국가의 핵심 정보통신 인프라를 운영하는 대형 ICT 기업이 보안 사고를 축소하거나 은폐하려 했다는 의혹은 법적 책임을 넘어 국민적 비난을 초래할 수 있다. 정부와 경찰이 대기업을 상대로 강제 수사에 착수한 것은 사건의 심각성을 반영하며, 이는 향후 다른 ICT 기업들이 보안 사고 발생 시 투명하고 신속하게 대응해야 하는 압력으로 작용할 전망이다. 이번 수사 결과는 국내 기업들의 보안 관리 및 사고 대응 방식의 표준을 재정립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