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상병 특검팀이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 쟁점인 'VIP 격노설'과 관련하여 임종득 국민의힘 의원에 대한 강제수사에 전격 착수했다. 특검팀은 11일 오전, 임종득 의원의 자택과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 자택에 수사관들을 보내 압수수색을 진행하며 관련 증거 확보에 나섰다.
이른바 'VIP 격노설'은 2023년 7월 31일 윤석열 대통령이 채 상병 순직 사건에 대한 해병대 수사단의 초동 조사 결과를 보고받은 자리에서 "이런 일로 처벌하면 누가 사단장을 할 수 있겠냐"며 격노했고, 이로 인해 국방부와 대통령실이 사건 이첩을 보류시키고 조사 결과를 변경하도록 압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이다. 이 의혹은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의 공정성을 훼손했다는 비판과 함께 정치권의 뜨거운 감자로 부상했다.
임종득 의원은 'VIP 격노설'이 불거진 시점인 2023년 7월 31일 당시 국가안보실 2차장으로 재직하고 있었다. 그는 박정훈 전 해병대 수사단장의 초동 수사 결과가 경북경찰청으로 이첩된 직후 김계환 전 해병대 사령관 등과 수차례 통화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수사 외압의 연결고리 역할을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을 받아왔다. 특검팀은 임 의원의 통화 내역 및 관련 자료를 면밀히 분석하여 수사 외압의 실체를 규명하는 데 집중할 것으로 보인다.
함께 압수수색 대상이 된 조태용 전 국가안보실장은 'VIP 격노설'의 진원지로 지목되는 2023년 7월 31일 대통령실 수석비서관 회의에 참석했던 인물 중 한 명이다. 특검팀은 조 전 실장의 압수수색을 통해 당시 회의의 구체적인 내용과 참석자들의 발언 등을 파악하여 'VIP 격노설'의 진위 여부를 밝히는 데 주력하고 있다. 특히 회의 참석자들의 진술과 확보된 증거를 교차 검증하여, 수사 외압의 배경과 경위를 명확히 규명할 방침이다.
오후에는 당시 대통령실 회의에 참석한 것으로 알려진 김태효 전 국가안보실 1차장이 소환 조사를 받을 예정이다. 김 전 차장은 7월 31일 회의의 핵심 참석자 중 한 명으로, 그의 진술은 'VIP 격노설'의 실체와 대통령실의 개입 여부를 파악하는 데 결정적인 단서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특검팀은 김 전 차장을 상대로 당시 회의의 분위기, 윤 대통령의 발언 내용, 그리고 이후 대통령실 및 국방부의 조치 과정 등을 집중적으로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이번 강제수사는 '순직 해병' 특검팀이 채 상병 순직 사건 수사 외압 의혹의 핵심을 정조준하고 있음을 보여주는 대목이다. 특검팀은 관련자들에 대한 철저한 수사를 통해 'VIP 격노설'의 진상을 명확히 밝히고, 수사 외압이 사실로 드러날 경우 관련자들에게 엄중한 책임을 물을 방침이다. 국민적 관심이 집중된 이번 특검 수사가 진실을 규명하고 정의를 실현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