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상의 이유"를 대며 구속 후 첫 특검 소환 조사를 거부한 윤석열 전 대통령에 대해, 특별검사팀이 "조사에 응하지 못할 정도의 건강상 문제는 없다"고 공식적으로 확인했다. 특검은 오는 14일 오후 2시로 다시 출석 일정을 통보하며, 이번에도 불응할 시 강제구인도 불사하겠다는 최후통첩성 입장을 밝혔다. 재수감된 전직 대통령과 특검 사이의 강 대 강 대치가 본격화되는 양상이다.
박지영 '내란' 특별검사보는 11일 오후 브리핑을 열고 "윤 전 대통령이 수용된 서울구치소로부터 '입소 시 건강검진 및 현재까지의 수용·관리 과정에서 건강상 문제점이 객관적으로 확인된 바 없다'는 취지의 회신을 받았다"고 밝혔다. 이는 이날 윤 전 대통령이 '건강 문제'를 들어 소환에 불응한 것에 대한 정면 반박이다.
앞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오늘 오후 2시로 예정됐던 특검의 첫 소환 통보에 불출석 사유서를 제출했다. 이에 특검팀은 즉각 서울구치소에 윤 전 대통령의 건강 상태를 공식적으로 확인해달라는 공문을 보냈고, 몇 시간 만에 '출석에 문제가 없다'는 답변을 받아낸 것이다.
특검은 구치소의 회신을 근거로 즉각 재소환을 통보했다. 박 특검보는 "윤 전 대통령 측에 오는 14일 월요일 오후 2시까지 출석해 조사를 받으라고 정식으로 요청했다"고 말했다. 사실상 '꾀병' 논란을 일축하고 더는 소환을 미룰 수 없다는 압박에 나선 셈이다.
특히 특검은 다음 소환에도 불응할 경우 강제적인 법 집행에 나설 것임을 분명히 했다. 박 특검보는 '14일에도 불응 시 강제구인을 생각해도 되느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그렇게 생각해도 큰 무리가 없다고 생각하면 된다"고 답했다. 이는 구속된 피의자에 대해 검찰이 발부하는 구인영장을 통해 강제로 소환하겠다는 의미다.
다만 특검은 "윤 전 대통령이 법률가이기에 구속영장의 성격을 누구보다 잘 알 것이고, 14일에는 조사에 응할 것으로 믿는다"고 말하며, 자진 출석의 여지를 남겨두었다. 현직 시절과 달리 경호 인력의 보호 없이 교정 당국의 관리하에 있는 만큼, 윤 전 대통령이 계속해서 조사를 거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판단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결국 공은 다시 윤 전 대통령에게 넘어갔다. '건강'이라는 불출석 명분이 사실상 사라진 상황에서, 그가 오는 14일 특검 사무실에 모습을 드러낼지, 아니면 전직 대통령이 강제로 끌려 나오는 초유의 상황을 선택할지 귀추가 주목된다.